<span class="hanja">車</span><span class=hangul>(차)</span>부품사 이달에만 2곳 부도 "트럼프 관세 쓰나미 이미 시작"

내수 부진한데 수출까지 이중고 <span class=\"hanja\">美</span><span class=hangul>(미)</span>상호관세 부과땐 제조업 고사 4월 제조업 BSI13개월째 부정적 경쟁국 수준 정부 지원 마련 필요
<span class=\"hanja\">車</span><span class=hangul>(차)</span>부품사 이달에만 2곳 부도 트럼프 관세 쓰나미 이미 시작 내수 부진한데 수출까지 이중고 <span class=\"hanja\">美</span><span class=hangul>(미)</span>상호관세 부과땐 제조업 고사 4월 제조업 BSI13개월째 부정적 경쟁국 수준 정부 지원 마련 필요 조윤진 기자27일경기도 평택항에 수출용 자동차들에세워져 있다. 연합뉴스 경북 구미 국가산업단지에입주한 자동차및전기전자부품제조업체A사가최근 법원에 기업회생을 신청했다. 어음을갚지 못해 당좌거래가 정지된지 불과이틀 만의 일이다. 과거 특허 기술을 기반으로 정부의 기술혁신형 중소기업(이노비즈) 인증을 받았고 2023년 기준 연간 매출액이 300억 원에 이를정도로 성장했지만 최근국내에 불어닥친 미국발 관세위기를 피할 수는 없었다. A사의 한 관계자는 30일 법원에서 회생절차 개시 결정이나 현재는 회생 계획 인가결정을 기다리고 있는 상태 라며 수주 물량이 급격히물면서 경영이 어려워졌다 고 토로했다. 한국 경제의 버팀목인 제조업이 흔들리고 있다. 특히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폭탄이 현실화하면서 수출과 수주가 모두 감소하는 이중고가 나타나고있다는 게 국내 제조 업체들의 하소연이다. 그나마 위기에도 어느정도 견딜 수있는 체력을 갖춘 대기업들은 상황이 괜찮지만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은 부품 업체들은 생존 위기에직면해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특히 자동차 부품사들의경영난이 심각하다. 경남 김해 소재 자동차 엔진 부품제조 업체 B사도 이달 중순 당좌거래가 정지당했다. A사를 포함해 이달에만 자동차 부품 제조 업체 2곳이약속한 기한내어음을 갚지 못해 부도가 난 것이다. 당좌예금은수표 어음을발행할수있는 기업의 마이너스 통장 이다. 통상 부도가 2번이상 발생하면 당좌거래가 정지된다. A사처럼 기업회생절차를 밟거나 폐업하게되는 것이다. 문제는 트럼프 관세 가 아직 본격적으로 시작되지도 않았다는 점이다. 앞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26일(현지 시간) 모든 수입 자동차에 대해 4월 2일부터 25%의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내용의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자동차 부품에 대해서는 5월 3일을 전후로 25%의 관세를적용하기로했다. 한국무역협회에따르면지난해 한국의 대미 자동차 부품 수출액은82억2000만달러(약12조원) 로전체 자동차 부품 수출액의 36.5%에 달했는데 이 수출분이 고스란히 타격을 받게되는 셈이다. 이항구한국자동차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현재 내수도 부진한데 수출까지 감소하면 국내 부품 업체들은 고사 위기에 처할 수밖에 없다 고 지적했다.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도 27일개최한 자동차 산업 긴급 회의에서(관세적용 시) 완성차 회사뿐만 아니라 부품기업의 어려움이 특히 클 것으로 예상된다 고 우려했다. 미국이한국에 상호관세를 부과할 경우자동차뿐만 아니라 반도체 의약품 등 제조업전반이 장기 침체에빠질 수있다는우려도 제기된다. 통계청이 4일 발표한1월 산업활동 동향 에 따르면 이미 1월제조업 생산은 전년 동월 대비 4.2%급감한 상태다. 2023년 7월(-6.6%) 이후 1년 6개월 만에 가장 크게 감소한 것으로생산이 쪼그라들면서 제품 출하까지7.4%나 줄었다. 한국경제인협회가 매출액 기준 600대 기업을 대상으로 조사한 4월 제조업 기업경기실사지수(BSI) 전망치는92로1년 1개월연속기준선인100을 하회하고 있다. BSI전망치는 기업 경영 전망을 가늠하는지표로 100보다 낮으면 경기를 부정적으로 본다는 의미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글로벌은 최근2분기 아시아태평양 경제 전망 보고서에서 한국의 올해 경제성장률을 기존 2%에서 1.2%로 0.8%포인트나 하향 조정하고미국의 관세정책이 지속될 경우 한국 경제는장기적인 어려움에 처할 수있다 고경고하기도 했다. 이에 정부는다음달 초 자동차 산업 비상 대책을시작으로연내 석유화학 산업 경쟁력 제고 방안, 소부장 경쟁력 강화 기본계획 등을 내놓는다는 계획이다. 한경협 관계자는 최근 반도체 자동차 등 우리나라주력 산업이 전례 없는 위기를 맞고 있다며 정부가 보조금, 세제 지원 등의 산업 지원 방안을 미국 일본 등 경쟁국 수준으로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국무역협회
팝업창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