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스템 준비 전혀 안됐는데 추진 의결권 행사 오류 책임 소재 모호 법적 분쟁으로 혼란만 가중 우려 상법 개정안 강행에 기업 비상
삼전 주주 516만 명인데 전자주총땐 출석 발언 불가
시스템 준비 전혀 안됐는데 추진 의결권 행사 오류 책임 소재 모호 법적 분쟁으로 혼란만 가중 우려 상법 개정안 강행에 기업 비상
조지원 기자
더불어민주당이 전자 주주총회를 의무화한다는 상법개정안을강행하면서상장사는물론이고증권 관계기관들에일제히비상이 걸렸다.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국무총리가 재의요구권(거부권) 을 행사하지 않아 당장 내년부터 상법 개정안이시행될 경우 전자 주총을 진행할 수 있는기술 제도적 준비가 전혀 갖춰지지 않은상태여서 현장 혼란이 예상된다.
30일 금융투자 업계에 따르면 일부 증권사와 한국예탁결제원 등 증권 관계기관들은내년 전자 주총이 의무화할 가능성에 대비해 플랫폼 개발 구축 등의 작업에 착수했다.
이달 13일 민주당 주도로 국회 본회의에서 통과된 상법 개정안엔 자산 2조 원 이상인 대형 상장회사는 전자주총 병행 개최를 의무화한다는 내용도 포함돼 있어서다.
야당이 의무화한 전자 주총은 일부 기업들이 도입해 시행 중인 전자 투표와는전혀 다른 시스템이다.
전자 주총은 주총통지, 투표, 회의 진행 등 모든 절차를 전자화하는 것이고, 전자 투표는 총회에 출석하지 않고 의결권만 행사하는 제도다.
전자 투표와 달리 전자 주총은 현장을 실시간으로 생중계하는 동시에 주주 출석확인과 질문권 제공, 의결권 행사까지 주총 절차를 모두 반영해야 한다.
현재 전자 투표는 한국예탁결제원과 삼성증권 등 일부 기관에서 서비스를 제공 중이다.
반면 전자 주총은 논의 단계로 시범운영조차 이뤄지지 않은 채 이제서야 시스템을 준비하고 있다.
당장 내년까지 통신장애와 해킹 등기술 문제를대비할시간도충분치 않다.
매년 3월마다 특정일에 주총이집중되는데 모든 상장사를 수용할 수 있을만큼 영상중계업체도 많지 않다.
동영상 전송은 데이터 용량이 큰 만큼 통신장애 위험이 클 뿐만 아니라 회사 비용 부담도 크다.
기술적 오류로 주주가 의결권을 행사하지 못했거나 하자가 생겼을 때 어떻게처리할지도 불분명하다.
투표권이나 질문권 행사에 작은 오류라도 생기면 결의취소 사유가 될 수 있어 법적 문제가 불거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책임 소재도 모호하다.
첨예하게 대립하는 안건일 경우 가결 여부를 예측할 수 없다는 것도 기업 입장에선 부담이다.
아무리 삼성전자라도소액주주만 516만 명이 있는 곳이라면기술적으로감당하기어려울것이라는우려가 나오는 이유다.
전자 주총 도입이 주주참여 활성화로이어질 것이라는 근거도 명확하지 않다.
자산과 주주 규모 간 연계성이 없는데 의무 개최 대상을 자산 2조 원을 기준으로한 것도 불분명하다.
주주 수가 적은 기업일수록 전자 주총이 적합하다는 미국 연구도 있다.
전자 주총 도입 필요성이 있더라도 현장에선 아무런 준비가 안 된 상태에서 무리하게 추진하는 건 혼란만 가중시킬 것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미국 일본 독일 등 주요국에선 전자주총을 허용하되 기업들이 자율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국내서도엄격한 요건을 두고안전장치를 갖춘경우에만허용하자는의견이 지배적이었으나 갑작스럽게 의무화를 추진하면서 논란이 확산하고 있다.
한국상장회사협의회 관계자는 주총은회사 경영의 의사 결정을 하는 방법인 만큼 방식만큼은 회사 자율로 두는 것이 타당하다 며 법을 시행하기 전에기술적이고 제도적인 문제를 해소하는 것이 우선이라고 했다.
한국상장회사협의회
시스템 준비 전혀 안됐는데 추진 의결권 행사 오류 책임 소재 모호 법적 분쟁으로 혼란만 가중 우려 상법 개정안 강행에 기업 비상
삼전 주주 516만 명인데 전자주총땐 출석 발언 불가
시스템 준비 전혀 안됐는데 추진 의결권 행사 오류 책임 소재 모호 법적 분쟁으로 혼란만 가중 우려 상법 개정안 강행에 기업 비상
조지원 기자
더불어민주당이 전자 주주총회를 의무화한다는 상법개정안을강행하면서상장사는물론이고증권 관계기관들에일제히비상이 걸렸다.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국무총리가 재의요구권(거부권) 을 행사하지 않아 당장 내년부터 상법 개정안이시행될 경우 전자 주총을 진행할 수 있는기술 제도적 준비가 전혀 갖춰지지 않은상태여서 현장 혼란이 예상된다.
30일 금융투자 업계에 따르면 일부 증권사와 한국예탁결제원 등 증권 관계기관들은내년 전자 주총이 의무화할 가능성에 대비해 플랫폼 개발 구축 등의 작업에 착수했다.
이달 13일 민주당 주도로 국회 본회의에서 통과된 상법 개정안엔 자산 2조 원 이상인 대형 상장회사는 전자주총 병행 개최를 의무화한다는 내용도 포함돼 있어서다.
야당이 의무화한 전자 주총은 일부 기업들이 도입해 시행 중인 전자 투표와는전혀 다른 시스템이다.
전자 주총은 주총통지, 투표, 회의 진행 등 모든 절차를 전자화하는 것이고, 전자 투표는 총회에 출석하지 않고 의결권만 행사하는 제도다.
전자 투표와 달리 전자 주총은 현장을 실시간으로 생중계하는 동시에 주주 출석확인과 질문권 제공, 의결권 행사까지 주총 절차를 모두 반영해야 한다.
현재 전자 투표는 한국예탁결제원과 삼성증권 등 일부 기관에서 서비스를 제공 중이다.
반면 전자 주총은 논의 단계로 시범운영조차 이뤄지지 않은 채 이제서야 시스템을 준비하고 있다.
당장 내년까지 통신장애와 해킹 등기술 문제를대비할시간도충분치 않다.
매년 3월마다 특정일에 주총이집중되는데 모든 상장사를 수용할 수 있을만큼 영상중계업체도 많지 않다.
동영상 전송은 데이터 용량이 큰 만큼 통신장애 위험이 클 뿐만 아니라 회사 비용 부담도 크다.
기술적 오류로 주주가 의결권을 행사하지 못했거나 하자가 생겼을 때 어떻게처리할지도 불분명하다.
투표권이나 질문권 행사에 작은 오류라도 생기면 결의취소 사유가 될 수 있어 법적 문제가 불거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책임 소재도 모호하다.
첨예하게 대립하는 안건일 경우 가결 여부를 예측할 수 없다는 것도 기업 입장에선 부담이다.
아무리 삼성전자라도소액주주만 516만 명이 있는 곳이라면기술적으로감당하기어려울것이라는우려가 나오는 이유다.
전자 주총 도입이 주주참여 활성화로이어질 것이라는 근거도 명확하지 않다.
자산과 주주 규모 간 연계성이 없는데 의무 개최 대상을 자산 2조 원을 기준으로한 것도 불분명하다.
주주 수가 적은 기업일수록 전자 주총이 적합하다는 미국 연구도 있다.
전자 주총 도입 필요성이 있더라도 현장에선 아무런 준비가 안 된 상태에서 무리하게 추진하는 건 혼란만 가중시킬 것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미국 일본 독일 등 주요국에선 전자주총을 허용하되 기업들이 자율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국내서도엄격한 요건을 두고안전장치를 갖춘경우에만허용하자는의견이 지배적이었으나 갑작스럽게 의무화를 추진하면서 논란이 확산하고 있다.
한국상장회사협의회 관계자는 주총은회사 경영의 의사 결정을 하는 방법인 만큼 방식만큼은 회사 자율로 두는 것이 타당하다 며 법을 시행하기 전에기술적이고 제도적인 문제를 해소하는 것이 우선이라고 했다.
한국상장회사협의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