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트바젤 홍콩 폐막 결산 <span class=\"hanja\">亞</span><span class=hangul>(아)</span> 큰손 컬렉터 대거 몰렸지만 거장 대형 작품만 꾸준히 팔려 <span class=\"hanja\">韓</span><span class=hangul>(한)</span> 갤러리는 대체로 실적 회복
미술시장 낙관론 솔솔 부익부 빈익빈은 여전
아트바젤 홍콩 폐막 결산 <span class=\"hanja\">亞</span><span class=hangul>(아)</span> 큰손 컬렉터 대거 몰렸지만 거장 대형 작품만 꾸준히 팔려 <span class=\"hanja\">韓</span><span class=hangul>(한)</span> 갤러리는 대체로 실적 회복
김경미 기자관람객들이중국 작가 위에민쥔의 작품 앞을 지나가고 있다.AFP연합뉴스
아시아 최대 미술품 장터인 아트바젤홍콩 2025가 닷새 간의 여정을 마치고30일 막을 내렸다.
올해 아트바젤홍콩은낙관론 이 조심스레 거론될 정도로 관객과 판매 측면에서 회복세가 뚜렷했다는평가가 나온다.
그러나 중국 본토를 중심으로 글로벌 경기 침체가 여전한 가운데거장의 대형 작품만 관심을 받는 부익부빈익빈 현상은 올해도 이어졌다는 분석이다.
아트바젤 홍콩에 따르면 28일 VIP 사전 관람을 시작으로 개막한 올해 행사에는 9만 1000여 명의 관람객이 방문했다.
지난해7만 5000명이 찾은 것과비교해21%가량 늘어난 셈이다.
올해 아트바젤홍콩에는 42개 국가와 지역에서 240개갤러리가 참가해 규모 면에서는 지난해와 비슷했다.
아시아 태평양 갤러리가 절반가량을 차지했고 관객들도 중국 본토와 대만, 일본, 한국 등 아시아권 컬렉터들이 대세를 이뤘다.
외신 등에 따르면 프리뷰에는 중국 전자상거래 업체 알리바바의 창업자인 마윈과 검은신화 오공 으로 중국발 게임 열풍을 일으킨 히어로게임즈의 다니엘 우 등 큰손 컬렉터들도 여럿 참석했다.
과거처럼 미술품을 사기 위해 오픈런 을 하는 등의 열광적인 분위기는 사라졌지만 유명 작품들은 견고한 판매 실적을 보였다.
첫날 일본작가 쿠사마야요이의 2013년작 무한그물[ORUPX]이350만 달러(약51억 원) 에 팔리며당일최고 판매가 기록을세웠고, 둘째날 프랑스계 조각가 루이스 브루주아의 작품이200만 달러(약 30억 원) 에 판매됐다.
전년도처럼 100억 원이 넘는 초고가 판매작품은 없었지만 수십만~수백만 달러를호가하는 작품들이 꾸준히 팔려나가며미술 시장에 온기가 돌아왔다는 분석도나왔다.
다만 중소형 갤러리나 신진 작가등 시장 전반으로 확산은 더뎠다.
한국 갤러리들도 대체로 고무적인 성과를 올렸다는 평가다.
국제갤러리는 첫날에만 박서보 하종현 이승조 김윤신등 작가의 작품14점을 판매했고 전체 행사기간 30점이 넘는작품을 판매했다.
조현화랑도 이배의 작품 8점을 포함해 20여 점 가까이 판매했다.
학고재는 송현숙정영주 윤석남 등의 작품을, 우손갤러리는 최병소 김혜련 이유진의 작품을 판매했다고 밝혔다.
28일 열린 크리스티 경매에서도 한국회화는 주목받았다.
이우환의 동풍(1983) 이 77만 8000달러에 낙찰돼 최고 추정가를 뛰어넘었고 박서보의 묘법과 이배의 작품도각각 94만 달러, 17만9000달러에 낙찰돼 최고 추정가에 근접했다.
이날 경매의 하이라이트였던 장 미셸 바스키아의 1984년작 토요일 밤 은최고 추정가에 근접한 1450만 달러(약213억 원) 에 팔렸다.
아트바젤 홍콩이 신진 작가 지원을 위해 제정한 MGM 디스커버리즈 아트 어워즈 의 첫수상자로한국 신민(40) 작가가 선정된 것도 쾌거다.
아트바젤 홍콩 폐막 결산 亞 큰손 컬렉터 대거 몰렸지만 거장 대형 작품만 꾸준히 팔려 韓 갤러리는 대체로 실적 회복
미술시장 낙관론 솔솔 부익부 빈익빈은 여전
아트바젤 홍콩 폐막 결산 亞 큰손 컬렉터 대거 몰렸지만 거장 대형 작품만 꾸준히 팔려 韓 갤러리는 대체로 실적 회복
김경미 기자관람객들이중국 작가 위에민쥔의 작품 앞을 지나가고 있다.AFP연합뉴스
아시아 최대 미술품 장터인 아트바젤홍콩 2025가 닷새 간의 여정을 마치고30일 막을 내렸다.
올해 아트바젤홍콩은낙관론 이 조심스레 거론될 정도로 관객과 판매 측면에서 회복세가 뚜렷했다는평가가 나온다.
그러나 중국 본토를 중심으로 글로벌 경기 침체가 여전한 가운데거장의 대형 작품만 관심을 받는 부익부빈익빈 현상은 올해도 이어졌다는 분석이다.
아트바젤 홍콩에 따르면 28일 VIP 사전 관람을 시작으로 개막한 올해 행사에는 9만 1000여 명의 관람객이 방문했다.
지난해7만 5000명이 찾은 것과비교해21%가량 늘어난 셈이다.
올해 아트바젤홍콩에는 42개 국가와 지역에서 240개갤러리가 참가해 규모 면에서는 지난해와 비슷했다.
아시아 태평양 갤러리가 절반가량을 차지했고 관객들도 중국 본토와 대만, 일본, 한국 등 아시아권 컬렉터들이 대세를 이뤘다.
외신 등에 따르면 프리뷰에는 중국 전자상거래 업체 알리바바의 창업자인 마윈과 검은신화 오공 으로 중국발 게임 열풍을 일으킨 히어로게임즈의 다니엘 우 등 큰손 컬렉터들도 여럿 참석했다.
과거처럼 미술품을 사기 위해 오픈런 을 하는 등의 열광적인 분위기는 사라졌지만 유명 작품들은 견고한 판매 실적을 보였다.
첫날 일본작가 쿠사마야요이의 2013년작 무한그물[ORUPX]이350만 달러(약51억 원) 에 팔리며당일최고 판매가 기록을세웠고, 둘째날 프랑스계 조각가 루이스 브루주아의 작품이200만 달러(약 30억 원) 에 판매됐다.
전년도처럼 100억 원이 넘는 초고가 판매작품은 없었지만 수십만~수백만 달러를호가하는 작품들이 꾸준히 팔려나가며미술 시장에 온기가 돌아왔다는 분석도나왔다.
다만 중소형 갤러리나 신진 작가등 시장 전반으로 확산은 더뎠다.
한국 갤러리들도 대체로 고무적인 성과를 올렸다는 평가다.
국제갤러리는 첫날에만 박서보 하종현 이승조 김윤신등 작가의 작품14점을 판매했고 전체 행사기간 30점이 넘는작품을 판매했다.
조현화랑도 이배의 작품 8점을 포함해 20여 점 가까이 판매했다.
학고재는 송현숙정영주 윤석남 등의 작품을, 우손갤러리는 최병소 김혜련 이유진의 작품을 판매했다고 밝혔다.
28일 열린 크리스티 경매에서도 한국회화는 주목받았다.
이우환의 동풍(1983) 이 77만 8000달러에 낙찰돼 최고 추정가를 뛰어넘었고 박서보의 묘법과 이배의 작품도각각 94만 달러, 17만9000달러에 낙찰돼 최고 추정가에 근접했다.
이날 경매의 하이라이트였던 장 미셸 바스키아의 1984년작 토요일 밤 은최고 추정가에 근접한 1450만 달러(약213억 원) 에 팔렸다.
아트바젤 홍콩이 신진 작가 지원을 위해 제정한 MGM 디스커버리즈 아트 어워즈 의 첫수상자로한국 신민(40) 작가가 선정된 것도 쾌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