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헬스

“눈 건조하고 간지럽더라니”…자는 사이 번식하는 ‘이 벌레’ 뭐길래

기사 이해를 돕기 위한 사진. 이미지투데이기사 이해를 돕기 위한 사진. 이미지투데이




우리가 깊은 잠에 든 사이 얼굴에서 은밀하게 활동하는 모낭충이 안구건조증과 가려움증의 원인으로 꼽히고 있다. 속눈썹을 은신처 삼아 살아가는 이 미세한 진드기들이 과도하게 늘어나면 다양한 눈 질환이 나타날 수 있어 전문가들은 눈꺼풀을 매일 세정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



14일(현지시간) 뉴욕포스트는 미국 뉴욕 켈리 비전 센터 소속 안과 전문의 애슐리 브리셋 박사의 의견을 인용해 안구건조증의 주범 중 하나로 모낭충을 지목했다.

브리셋 박사는 “모낭충은 대부분 사람의 눈썹이나 속눈썹에 존재하지만 평소에는 해를 끼치지 않는다”며 “하지만 세균을 먹고 살아가는 이 진드기가 과도하게 늘어나면 눈꺼풀 염증, 충혈, 안구건조, 다래끼, 가려움, 자극 등을 유발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모낭충은 피부 속 모낭과 피지선에 기생하며 최대 0.4mm 크기로 사람 눈에 잘 띄지 않는다. 모낭충은 수건이나 화장품을 여러 사람과 공유하거나 개인 위생 관리가 소홀해질 경우 급격히 번식할 수 있다. 이렇게 모낭충이 늘어나면 눈꺼풀이 가렵고 붉어지며 딱지가 생기고 속눈썹이 빠지는 증상까지 나타날 수 있다.

관련기사



이 진드기들은 눈을 촉촉하게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눈물막의 기름층을 분비하는 샘의 기능까지 떨어뜨릴 수 있다.

브리셋 박사는 “염증이 생기면 눈물 생산이 방해받고 눈꺼풀이 눈물막을 고르게 퍼뜨리는 기능도 약화된다”면서 “그 결과 안구건조증이 더 심해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안구건조증은 미국에서 2000만 명 이상이 겪고 있고 한국에서도 매년 약 250만 명의 환자가 진료를 받고 있다. 그 원인으로는 건조한 공기, 자가면역질환, 항히스타민제나 충혈완화제 복용, 장시간 영상 시청, 비타민A 부족, 콘택트렌즈 착용 등이 꼽힌다.

특히 여름철에는 에어컨 바람이나 환경 알레르기 물질 증가 등으로 인해 증상이 더 악화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브리셋 박사는 “눈꺼풀 전용 세정제를 사용해 매일 눈꺼풀을 닦아야 한다”며 “모낭충과 그 먹이인 세균, 노폐물을 함께 제거함으로써 눈 질환 예방과 재발 방지에 도움이 된다”고 강조했다.

조선업 1조원 벌어도 파업, 서울시 2조원 뿌린다 [AI PRISM x D•LOG]

“눈 건조하고 간지럽더라니”…자는 사이 번식하는 ‘이 벌레’ 뭐길래


임혜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