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추진하는 농어촌 기본소득 시범지역으로 경남 남해군이 선정되자, 현지 전입 인구가 눈에 띄게 늘고 있다. 기본소득 지급에 대한 기대감이 이동 수요를 자극한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13일 남해군이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 9월 전입자 수는 272명에 그쳤지만 시범사업 확정 직후인 10월에는 629명으로 급증했다. 한 달 사이 357명(약 131%)이 늘어난 것으로, 2007년 이후 가장 큰 증가폭이다.
올해 1~8월까지만 해도 남해군은 매달 20~130명씩 인구가 줄며 감소세가 이어지고 있었다. 지난해 말 기준 인구 4만명 선이 무너진 뒤 줄곧 하락세였다는 점을 고려하면 최근의 두 달 연속 증가세는 이례적이라는 평가다.
10월 전입자는 주로 인접 지역인 부산·경남권에서 몰렸다. 지역별로는 부산에서 130명이 가장 많이 유입됐고, 진주 68명, 사천 56명, 창원 40명 순으로 뒤를 이었다.
이 같은 변화는 내년부터 시행되는 농어촌 기본소득 시범사업의 기대심리가 반영된 결과로 보인다. 남해군은 2년 동안 지역 주민에게 1인당 월 15만원 상당의 지역사랑상품권을 지급할 계획이다.
다만 급격한 인구 증가는 위장 전입이나 단기 전입 등 ‘풍선효과’가 뒤따를 가능성도 있다. 이에 군은 주거, 의료, 교육 등 정주 여건을 개선하는 종합 지원 정책을 함께 추진할 방침이다.
군 관계자는 "최근 인구 증가는 농어촌 기본소득 도입에 대한 기대심리가 인접 도시의 실거주민 유입으로 이어진 결과"라며 "전입자들이 성공적으로 지역에 정착할 수 있도록 정책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