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산서원의 입교당에서 본 서원 내부. 앞쪽에 휴식과 강학의 복합공간인 만재루가 있다. 멀리 병산이 보인다.
도산서원 앞의 시사단. 조선 정조가 영남 사림을 위해 과거를 시행한 곳이다.
낙동강이 마을을 휘돌아간다고 해서 ‘하회마을’이다. 류성룡 가옥 등 고택이 많다.
문경새재의 모습. 경상도와 충청북도, 낙동강과 한강을 연결하는 고갯길이다.
부석사 무량수전의 모습. 고려 중기에 만들어졌으며 주위의 산세와 절묘하게 어울린다
‘김광석 다시 그리는 길’의 모습. 원래는 근처 방천시장 재생을 위해서 만들어졌지만 지금은 이 길이 더 유명하다.
내륙 깊숙한 안동의 지역적 특성으로 염장을 한 간고등어가 탄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