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유가 급등에 따라 대기업보다 중소기업이 더큰 충격을 받는 것으로 나타나 이에대한 대책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됐다.
중소기업협동조합중앙회가 16일 내놓은 '유가급등이 중소기업에 미치는 영향과대응'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73년과 79년 제 1,2차 석유파동으로 인해 중소제조업체가 각각 741개, 961개 감소했다.
반면 대기업은 73년 86개 증가했으며 74년에는 20개 감소하는데 그쳤다.
또 제 1,2차 석유파동기를 거치면서 중소제조업체 생산이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73년 33.9%에서 74년 29.8%로, 79년 32.1%에서 80년 31.9%로 각각 낮아졌으며중소제조업의 생산지수 증가율도 각각 14%p, 23.9%p 낮아졌다.
이같은 현상은 유가상승의 영향이 큰 1차 금속제품, 섬유.의복, 가구.목재 등의업종에서 두드러졌으며 이 기간 제조업 GDP성장률도 각각 12.7%p, 8.6%p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최근 원유수입 단가지수가 지난 4월 15%에서 6월 36.6%으로 급등함에따라 1,2차 석유파동에 이어 석유화학관련 업종을 중심으로 가격 인상압력이 높아지고 있어 관련 중소기업의 경영난 악화가 예상된다"고 분석했다.
유화원료를 사용하는 플라스틱 가공업종은 원재료 가격이 작년에 비해 40% 상승했지만 이를 제품가격에 반영치 못해 극심한 경영난을 겪고 있으며 원재료가 비중이큰 섬유업종이나 에너지 다소비업종인 제지업계 등도 큰 타격을 입고 있다고 보고서는 설명했다.
기협중앙회 성기창 과장은 "복잡한 국제 정세를 감안할 경우 3차 오일쇼크까지도 우려되고 있어 고유가에 철저히 대비해야 한다"며 "유가상승의 영향이 큰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정부차원에서 고에너지효율.하이테크형 기술혁신 기업을 육성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서울=연합뉴스) 김희선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