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중, 북 핵실험 정보 국제사회와 공유

중국이 북한의 핵실험에 대한 감시정보를 국제사회에 제공하기로 했다. 이는 북한의 추가 핵실험에 대해 중국의 반대 의사를 행동으로 보여준 것으로 해석된다.

11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장위란 중국 국방부 부부장(차관)은 7일(현지시간) 포괄적핵실험금지조약기구(CTBTO) 본부가 있는 오스트리아 빈에서 라지나 저보 CTBTO 사무총장과 만나 중국이 독자적으로 확보한 핵실험 감시정보를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CTBTO는 중국의 이 같은 조치가 중국에 있는 핵실험 감시시설을 국제적으로 공인 받기 위한 첫 번째 절차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중국은 현재 포괄적핵실험금지조약(CTBT)을 공식적으로는 비준하지 않고 있다.


중국은 현재 10개의 핵실험 감시시설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베이징ㆍ란저우ㆍ광저우 3곳의 시설은 핵실험 여부와 원료를 판단할 수 있는 방사성 핵종을 감지하는 시설이고 나머지 7개는 지진파와 음파를 감지하는 시설이다. 중국의 정보가 공개될 경우 국제사회는 실제 북한이 핵실험을 했는지, 핵실험에 사용된 원료가 무엇인지 등을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 2월 북한의 3차 핵실험 이후 국제사회는 북핵의 실체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했다. 인민해방군 장성 출신인 쉬광위 중국군비통제군축협회(CACDA) 선임연구원은 "이런 중국의 행보는 북한에 경고가 될 수 있다"면서 "국제기구가 비밀 핵실험까지 감시하고 분석해낼 수 있게 됨에 따라 북한의 향후 핵 관련 행보를 제한하는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한편 중국의 이번 조치가 핵 감시 국제기구 내에서의 중국의 역할을 키우며 CTBT 공식 비준을 미루고 있는 미국에도 압박이 될 것이라는 분석도 제기되고 있다.

김현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