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배달하다 다친 미성년자, 노동가동연한 65세까지

대법 '60세 원심' 파기 환송

대법원 전경대법원 전경



오토바이 배달 아르바이트를 하다 교통사고로 다친 미성년자에게 노동가동연한을 65세까지 검토한 뒤 배상금을 지급해야 한다는 대법원 판단이 나왔다. 지난 2월 육체노동자의 노동가동연한을 기존 최대 만 60세에서 65세로 변경한 대법원 전원합의체 판결의 취지를 잇는 판단이다.


대법원 1부(주심 김선수 대법관)는 김모(22)씨가 손해보험사를 상대로 낸 손해배상청구 소송 상고심에서 김씨의 노동가동연한을 60세로 인정해 1억3,347만원을 배상하라고 판결한 원심을 깨고 사건을 부산지방법원 민사항소부에 돌려보냈다고 26일 밝혔다.

관련기사



김씨는 18세이던 지난 2015년 8월 경남 김해에서 오토바이로 치킨 배달 아르바이트를 하던 중 맞은편에서 신호를 위반한 채 좌회전하던 개인택시에 들이받혀 뇌 손상과 폐 좌상 등의 상해를 입었다. 1·2심은 김씨의 노동가동연한을 60세로 보고 일실수입을 계산해 위자료 1,000만원 등 총 1억3,347만원을 배상하라고 판결했지만 대법원은 육체정년을 65세까지 고려해야 한다고 봤다. 대법원 전원합의체는 올 2월 육체노동가동연한을 기존 60세에서 65세로 30년 만에 상향한 바 있다.

윤경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