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2050년 韓 성장률 0%로 추락"…KDI의 경고

조동철 한국개발연구원(KDI) 원장이 30일 서울 대한상공회의소 국제회의장에서 열린 국가미래전략 콘퍼런스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조동철 한국개발연구원(KDI) 원장이 30일 서울 대한상공회의소 국제회의장에서 열린 국가미래전략 콘퍼런스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한국 경제가 생산성을 회복하지 못하면 2050년 0%의 경제성장률을 기록할 수 있다는 국책연구기관의 분석이 나왔다. 정부가 교육·노동개혁을 적극 추진해 생산성을 끌어올려야 한다는 지적이다.



정규철 한국개발연구원(KDI) 경제전망실장은 30일 서울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제2차 KDI 국가미래전략 컨퍼런스에서 이같은 내용이 담긴 '장기경제성장률 전망과 시사점'을 발표했다. 정 실장은 이날 한국 경제성장률이 지속적으로 하락해 2050년 0.5% 안팎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생산성 증가율이 경제협력발기구(OECD) 상위(25~50%) 평균 수준인 1%를 유지하는 상황을 전제한 결과다. 한국 생산성 증가율은 2010년대 들어 0%대를 기록하고 있다.

관련기사



단 생산성 개선이 부진할 경우 2050년 경제성장률은 0%에 그칠 것으로 추산됐다. 또 정 실장은 최악의 경우 한국의 1인당 국내총생산(GDP) 증가율도 2050년 0.8%로 주저앉을 수 있다고 경고했다. 저출산·고령화에 따른 경제활동인구 감소 여파다.

정 실장은 생산성을 끌어올리기 위한 구조개혁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교육·노동시장 개혁을 추진하는 것은 물론 상품시장 진입 규제를 완화해 신성장 사업 진출을 활성화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또 정 실장은 경쟁력을 잃은 기존 기업 존속보다 기술력을 갖춘 신생·혁신기업에 초점을 맞춰 정책금융을 재편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노동공급 축소를 완화하기 위한 방안도 제시됐다. 우선 정 실장은 여성과 고령층이 노동시장에 활발히 참여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정 실장은 "경제 구조개혁을 통해 생산성을 개선하고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부정적 영향을 완화해야 한다"며 "외국 인력을 적극 수용해 노동 공급 축소를 완화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세종=이준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