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사망·실종 급증에…해수부, 해양 인명사고 저감TF 구성

2024년 사망·실종 165명…전년比 75.5%↑

세월호참사 이후 10년 만에 인명사고 '최다'

지난해 12월 30일 충남 서산시 팔봉면 고파도 인근 해상에서 83톤급 선박이 전복돼 2명이 구조되고 5명이 실종돼 해경과 소방당국, 어선들이 야간 수색 작업을 벌이고 있다. 사진제공=태안해경지난해 12월 30일 충남 서산시 팔봉면 고파도 인근 해상에서 83톤급 선박이 전복돼 2명이 구조되고 5명이 실종돼 해경과 소방당국, 어선들이 야간 수색 작업을 벌이고 있다. 사진제공=태안해경




지난해 해양사고로 인한 사망·실종자수가 165명으로 잠정 집계돼 세월호사고가 있었던 2014년 이후 10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2년 연속 감소하면서 두 자릿수에 그치다가 크게 반등한 것이라 정부가 부랴부랴 대책 마련에 나섰다.



31일 해양수산부에 따르면 지난해 해양사고로 인한 사망·실종자수가 165명으로 잠정 집계됐다. 이는 전년 대비 75.5% 증가한 것이다. 연도별 사망·실종자를 보면 △2014년 467명 △2015년 100명 △2016년 118명 △2017년 145명 △2018년 102명 △2019년 98명 △2020년 126명 △2021년 120명 △2022년 99명 △2023년 94명 등이었다.

관련기사



세월호 참사가 있었던 2014년을 제외하면 많아도 150명을 넘기지 않다가 지난해 165명의 사망·실종자가 발생한 것이다. 전복·침몰 등 대형사고가 지난해 10건(62명 사망·실종)으로 전년(2건, 13명 사망·실종) 대비 급증한 게 악영향을 미쳤다. 지난해 11월 승선원 27명 중 5명의 목숨을 앗아가고 9명의 행방을 찾을 수 없게 한 129t급 선망 어선 '135금성호' 침몰이 대표적이다.

이에 해수부는 빈발하는 대형 해양사고와 안전사고를 줄이고자 1년간 ‘인명피해 저감 태스크포스(TF)’를 구성·운영하기로 했다. 이달 20일 첫 실무회의를 진행한 데 이어 다음 달 초 강도형 장관 주재로 전체회의를 개최할 예정이다.

해수부는 △일반선박 △어선 △여객선 △조사 등 4개 분과별 과제를 검토하고 있다. 최근 10년간 발생한 안전사고(374건) 중 어구·줄 작업 중 사고(293건)가 78%를 차지하는 만큼 맞춤형 대책을 수립하겠다는 것이다.

해수부는 연안·국제 여객선의 대형 인명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주요 설비결함 안전관리 실태 점검에도 나설 방침이다. 해수부의 한 관계자는 “전기차 화재 등 새로운 위해요인 역시 적극 대응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당장 올 상반기 중에 국고여객선을 대상으로 전기차 화재 대응 장비를 보급하며 하반기부터는 풍랑경보 예고제를 도입하고 어선 안전 검사 대상과 항목도 확대한다.


세종=유현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