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의원들이 다음 달 초 일본을 찾아 미국·일본 의원들과 만나 의회 외교를 펼친다.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북중러 결속이라는 위협 속에 한미일 3국 간 경제·안보 분야 협력 필요성과 미국발(發) 관세 충격 등 주요 현안이 논의 테이블에 오를 것으로 보인다.
22일 정치권에 따르면 더불어민주당·국민의힘 의원 4명은 한미일 의원회의 참석을 위해 다음 달 2일부터 1박 2일 일정으로 일본 도쿄를 방문한다. 대한민국 대표단으로는 이재정·박지혜 민주당 의원과 최형두·김소희 국민의힘 의원 등이 참석한다. 미국·일본 측도 여야 의원 4명씩 참여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한미일 의원회의는 2003년 출범한 후 연 2회 정례적으로 개최되는 3국의 유일한 의회 외교 채널이다. 미국 워싱턴 소재 아시아 관계 전문 싱크탱크인 맨스필드재단이 운영을 맡고 있다.
이 회의체는 태평양 지역 자유 진영 국가들 간 친목 성격의 모임이지만 국제 정세 급변 속에서 그 무게감이 가볍지 않다. 특히 지난 중국 전승절 80주년 행사 당시 북중러 3국 지도자가 냉전 이후 처음으로 한자리에 모이면서 동북아의 지정학적 위기가 고조된 상황이다. 여기에 미국의 전방위적인 관세 압박에 따른 국제 통상 파고도 한일 양국을 덮치고 있다. 이 때문에 이번 회의에서는 북중러 연대에 따른 한미일 3국 협력 강화, 통상 문제, 조지아주 한국인 구금 사태와 관련한 미국 비자 제도 개선 필요성 등이 대화 의제에 포함될 것이라는 관측이다.
이번 방일길에 오르는 박지혜·김소희 의원의 경우 여야 기후 문제 전문가라는 점에서 기후변화 공동 대응도 주요 안건으로 다뤄질 여지가 있다. 국회 관계자는 “한미일 의원회의는 통상적으로 정치·경제·무역 등 분야에서도 그 시기에 주된 이슈를 다룬다”며 “2019년 회의에서도 한일 무역 분쟁이 주요 안건으로 다뤄졌듯이 이번에도 현안 위주로 대화가 오갈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한편 민주당 초선 모임인 ‘더민초’는 이날 서울 주한미국대사관을 방문해 한국인 노동자 구금 사태에 대해 미국 정부의 공식 사과와 함께 한국산 자동차 등 미국이 부과한 주요 품목 관세에 대한 차별적 관세를 철회하라는 내용의 항의 서한을 전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