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금융사 CEO 리스크 검사 깐깐해진다

강화된 전문성 기준 등 이달부터 적용

금융당국이 금융회사 최고경영자(CEO)에 대한 검사기준을 대폭 강화했다. 금융감독원은 최근 CEO 리스크 검사기준을 보완하기 위한 점검사항을 확정하고 이를 금융회사들에 통보했다고 7일 밝혔다. 금감원은 금융회사 CEO가 전문성을 갖추고 있는지를 먼저 점검하기로 하고 금융회사가 자율적으로 CEO의 자격요건을 마련해 운용하도록 권고했다. 지금까지는 금융 관련 법규에 규정된 결격사유만 없으면 금융회사 임원이 될 수 있었다. 하지만 앞으로는 더욱 높은 수준의 전문성을 갖춘 인재를 임원으로 선임하도록 하겠다는 뜻이다. 금감원은 경영권의 사유화를 막기 위해 과도한 연임을 억제하는 제한장치를 마련하도록 했으며 스톡옵션제도에 대한 점검도 강화할 방침이다. 아울러 각 금융회사가 체계적인 CEO 후계자 양성 프로그램을 도입해 운영하고 있는지와 이사회ㆍ리스크관리위원회ㆍ감사 등이 CEO를 적절히 견제하는 지도 점검하기로 했다. 금감원은 이달부터 강화된 검사기준을 적용해 종합검사를 벌일 계획이며 CEO 리스크 점검을 위한 부문검사도 올해부터 처음으로 실시하기로 했다. 금감원의 한 관계자는 "CEO의 관리능력이 취약하거나 CEO 리스크 관리체계가 적정하지 못하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해당 금융회사와 양해각서(MOU)를 체결해 문제해결을 유도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