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부동산일반

경매시장 과열 주의보

감정가액보다 시세 높아져

1~2월 낙찰총액 역대 최고

연초 경매시장에 역대 최대 자금이 몰린 것으로 조사됐다. 주택 거래시장 회복세와 함께 저렴하게 아파트를 구매하려는 이들이 몰리면서 낙찰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는 것. 특히 최근 주택가격이 오르면서 시세가 감정가액보다 높아진 사례가 많아져 당분가 이 같은 과열 양상이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16일 부동산경매정보업체 부동산태인에 따르면 올해 1~2월 낙찰된 수도권 소재 아파트의 낙찰가격 총액은 5,496억8,100만원으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목할 만한 것은 낙찰건수는 1,842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의 1,832건보다 10건 늘어나는데 그쳤지만 낙찰가액은 6.6%(341억6,200만원)나 늘었다는 점이다.


이처럼 낙찰가격 총액이 급격히 증가한 이유는 연초 들어 주택 거래시장이 회복세를 보이면서 내 집 마련 수요가 대거 경매시장으로 몰렸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로 1~2월 경매 법정을 찾은 입찰자 수는 지난해 1만552명에서 43.8%나 증가한 1만5,176명이었다. 1~2월에 입찰자 수가 1만5,000명을 넘은 것도 역시 올해가 처음이다.

관련기사



경쟁이 치열해진 만큼 감정가 대비 낙찰가율도 덩달아 크게 올랐다. 올해 수도권 소재 아파트 경매 낙찰가율은 83.6%로 지난해 75%에 비하면 8.6%나 뛰었다.

이같은 과열 경쟁 양상은 고가 낙찰사례에서도 쉽게 알 수 있다. 올해 감정가격보다 높은 가격에 낙찰된 사례는 모두 130건으로 2008년 이후 처음으로 세자릿수를 넘어섰다. 또 유찰 없이 경매장에 처음 나온 물건이 낙찰된 신건 낙찰 사례도 71건으로 지난해 비해 3배 가량 늘었다.

문제는 올해 들어 거래시장 회복과 맞물려 주택가격도 오른 만큼 당분가 이 같은 과열 경쟁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는 점이다.

박종보 부동산태인 연구원은 "경매가 진행되는 아파트 물건의 경우 최근 시세가 반년 전 책정된 감정가에 비해 높아 입찰자들이 몰리고 있다"며 "때문에 입찰 건수가 크게 차이나지 않음에도 올해 낙찰가격 총액이 지난해에 비해 크게 증가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또 "당분간 이 같은 양상이 계속되면서 1분기 수도권 아파트 경매시장의 낙찰가격 총액도 역대 최대규모를 기록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