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한국, 미생물 박테리아 발견 세계 1위"

과기부 "英미생물 학술지 발표실적 68종..日 추월"

우리나라가 신규 미생물 박테리아 발표실적에서세계 1위에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과학기술부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21세기 프론티어연구개발사업인 `미생물유전체활용기술개발사업단'의 본격적인 활동에 힘입어 영국의 세계적인 미생물 학술지 IJSEM에 등록한 `2005년도 박테리아 신종' 발표건수에서 세계 1위를 기록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는 미생물 다양성을 확보, `유전체 보물지도' 제작을 위한 확고한 기반을 구축할 수 있게 됐다고 과기부는 밝혔다. 우리나라는 올해 전체 신규 발견 박테리아 494종 가운데 13.8%인 68종을 발견,미생물 박테리아 부문의 강국인 일본(59종)과 미국(44종), 중국(42종), 독일(41종)을 제치고 수위에 올랐다고 과기부는 설명했다. 이 중 미생물유전체활용기술개발사업단은 전세계 발견 건수의 12.6%인 62종의신규 박테리아를 발표, 중국과학원 미생물연구소(24종)보다 3배 가량 많은 실적을거두며 해당 분야의 독보적인 존재로 부상했다고 과기부는 덧붙였다. 우리나라는 특히 개발연구자 순위에서도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윤정훈 박사가 32종을 발표, 작년에 이어 세계 1위를 차지했으며 한국과학기술원 이성택 교수도 14종으로 2위를 차지하는 등 선두권을 독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업단 오태광 단장은 "최근 외국으로부터 공동연구 제안이나 미생물 제공 요청이 쇄도하고 있다"며 "향후 공동연구 등을 통해 효소와 기능성 미생물 등 정밀화학소재와 항생물질 등을 발굴한다면 국내 미생물 산업을 선진국 수준으로 끌어올릴 수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사업단은 미생물 탐색지역의 다변화 및 국가간 협력을 위해 국제 공동연구를 적극 권장, 중국과 몽골, 베트남, 동유럽 국가들과 MOU(양해각서) 체결 등 다양한 협력관계를 통해 아시아 네트워크 구축의 허브국가로 발돋움할 계획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