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정치개혁특위가 9일 잠정 합의한 `인구 상ㆍ하한선 10만5,000~31만5,000명`의 선거구 획정 가이드라인이 확정되면 지역구 의원 수는 현재 227명에서 최소 7명, 최대 11명까지 늘어난다. 여야는 의원수 증원에 대한 비판 여론을 의식, 의원 총수는 273명 그대로 유지키로 했기 때문에 그 만큼 비례대표 의원 수가 줄어들게 된다.지역구 증감 면에서 여야에 특별한 유ㆍ불리는 없지만 한나라당은 다소 불만을 표시하고 있다. 강세 지역인 영남에서 4개 선거구가 느는 대신 7개가 줄어들기 때문. 특히 TK는 5곳이 통폐합 대상이다.
민주당은 당초 유력하게 논의된 10만6,579~31만9,738명안을 적용할 경우 전남에서 4개 선거구가 통폐합될 처지였지만 막판에 수정안을 제안, `호남 1개 순감`으로 선방했다. 최대 승부처인 수도권에선 11개 선거구가 새로 생겨나지만 지역색이 약해 특정 정당의 득실을 따지긴 힘들다.
한나라당은 "분구와 통폐합을 종합하면 전체적으로 9~10개 가량 선거구가 늘어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하지만 열린우리당은 "7~8개 정도"라고 말해 선거구획정위 조정 과정에서 논란이 예상된다. 또 각 당 지도부가 특위의 잠정안을 반대할 가능성도 없지 않아 선거구 획정 결과를 예단하긴 힘들다.
<배성규 기자 vega@hk.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