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국내 연구인력 상당수가 비정규직에 처우도 열악

■ 고급두뇌, 한국은 유출… 중국은 유입

고급 두뇌에 대한 ‘푸대접’은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연구인력 처우에서도 여실히 드러난다. 박사학위까지 받은 소위 ‘브레인’들도 국내 연구기관에서는 임금차별을 겪는 비정규직으로 전락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올 들어 전국과학기술노동조합이 27개 정부출연연구기관의 고용형태를 조사한 결과 전체 직원의 절반에 육박하는 45.7%, 총 9,475명이 비정규직 형태로 근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연구인력이 7,000명 이상으로 약 75%에 해당된다. 그나마 풀타임 기간제로 일하는 경우는 전체 비정규직의 25.6%인 2,429명에 불과한 실정이다. 비정규직의 고용불안과 그에 따른 경제적 보수 부족, 미비한 복지 수준 등은 고급 두뇌들이 국내 연구기관에서 발을 돌리게 만드는 주요 요인으로 꼽힌다. 정규직과 비정규직은 고용보장 여부도 다르지만 경제적인 보상 수준도 큰 차이가 난다. 같은 학위 소지자라도 비정규직 임금은 정규직의 절반에 그친다. 연구환경과 보수, 장래성, 자녀 교육을 비롯한 처우 문제가 연구능력 개선에 큰 영향을 미치는 현실에서 저임금 비정규직 일자리를 내거는 국내 연구기관들은 고급 두뇌를 유인할 만한 메리트를 전혀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셈이다. 이부형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연구소마다 일은 많은데 정규직 정원은 정해져 있어 석ㆍ박사 인력을 계약직으로 고용할 수밖에 없다”며 “그러다 보니 해외 유학파들은 처우가 나은 해외에 머물고 국내 연구기관은 국내 석ㆍ박사 학위 취득자 중심으로 메워지면서 전반적인 연구인력 처우를 악화시키는 결과를 낳게 된다”고 설명했다. 고급 두뇌의 공동화 현상이 연구직 고용불안을 더욱 가속화시키면서 두뇌 유출을 부추기는 악순환이 이뤄지고 있다는 얘기다.

관련기사



신경립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