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신성장 동력 속으로] 고려대 건설시스템 최적화 연구실

도시 개발·건설 친환경 공법 집중 연구

고려대 건설시스템최적화연구실 연구원들과 조훈희 책임교수가 한자리에 모여 환하게 웃고 있다.

조훈희 교수

'첨단 로봇을 이용한 건설시공에서부터 첨단 탄소 중립형 도시개발까지.'

고려대학교 건설시스템최적화연구실은 우리나라 건설 분야의 미래 먹을거리 창출을 위해 전력을 쏟고 있다.

조훈희 교수 지도아래 녹색도시 개발, 첨단시공 및 건설관리(Construction Management) 분야에서 국내연구를 선도하고 있으며 세계적 수준의 연구실로 성장하기 위해 힘찬 걸음을 내딛고 있다.


연구실의 중점 연구 분야로는 ▦탄소 중립형 녹색도시 개발 ▦초고층 고속시공기술 ▦건설 시공 자동화 및 정보기술(IT)기반 현장관리 시스템 연구 ▦그린 건설리프트 개발 등이 있다.

관련기사



우선 탄소 중립형 녹색도시 개발 분야에서는 앞으로 5년 동안 건설공사 시공단계에서부터 환경부하 평가기준을 위한 SPI(Sustainable Performance Index) 및 SPI 기반 사업관리 지원 시스템 개발연구를 수행할 예정이다.

이 연구는 국토해양부의 지원으로 진행된다. 연구 개발이 완료되면 도시개발 및 건설단계에서 환경친화적인 공사방법의 도입이 활발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초고층 분야에서는 세계 최고 수준의 경제적 고속시공 핵심기술 개발을 목표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지난 2009년부터 공사기간 단축과 경제성 확보의 핵심기술인 자가진단형 시스템 거푸집 및 통합 플랫폼 개발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오는 2014년까지 진행될 예정이며 현재 일부 결과물에 대한 원형(Prototype)이 개발돼 부산의 초고층 현장에서 시험적용 중에 있다.

또한 연구실은 교량 및 터널 건설 프로젝트의 시공단계에 있어 효율적인 건설관리를 위해 첨단센서 등 IT를 활용한 건설현장 실시간 통합관리 시스템 구축을 위한 연구도 수행하고 있다.

조 교수는 "본 연구실은 '글로벌 리딩 스마트 & 그린 CEM 랩'을 비전으로 풍부한 연구수행 경험과 전문인력을 보유하고 있다"며 "이를 통해 건설현장 및 세계적 트렌드에 적극 대응할 수 있는 선도적인 연구실로 발전해나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