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계가 환경문제에 대한 기업의 입장을 대변하고 옹호할 환경전문기구를 설립한다.
이는 내년부터 교토의정서가 발효되는 등 환경문제가 기업 경영의 핵심요소로 부상하고 있는데다 환경단체의 무리한 요구가 신규투자의 발목을 잡고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5일 재계에 따르면 대한상공회의소와 전국경제인연합회 등 경제단체 사이에서 재계의 환경전문기구 설립이 논의되고 있다. 노조의 상급단체인 노총에 대응해 구성된 한국경영자총협회와 같은 모델이다.
재계의 한 관계자는 “국제적으로는 세계상업회의소(ICC)가 주축이 돼 만든 후 독립시킨 ‘세계지속가능기업협의회(WBCSD)’가 환경단체 등에 대응해 기업의 입장을 대변하고 있다”며 “국내에서도 29개 기업이 전경련 산하에 ‘지속가능발전 기업협의회(KBCSD)’를 구성, 환경문제에 대한 재계의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만 환경기금 조성 등 소극적인 대응에만 그칠 뿐 제대로 재계의 입장을 옹호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WBCSD는 160개 다국적 기업이 참여, 기업의 환경경영을 위해 노력하는 동시에 그린피스 등 국제 환경단체의 잘못을 지적하고 시정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재계의 이 같은 움직임과 관련, 박용성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은 4일(현지시간) 프랑스 파리에서 가진 ICC 회장 취임 기념 기자간담회에서 “환경단체에 대항할 수 있는 (사측) 단체가 필요하다”며 “기업이 잘못해서 비난 받는 것은 마땅하지만 (환경단체의) 무리한 요구나 잘못된 주장에 대해 기업측의 입장을 대변할 수 있는 기구나 조직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 “환경단체를 지원하는 기업은 환경단체를 견제하는 기능이 전혀 없다”며 “노총에 대응하는 경총과 같은 전문기구나 조직을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새로 만드는 재계의 환경전문기구는 기존 KBCSD와는 별개로 운영될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