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들어 원유는 물론 곡물, 비철금속 등 주요 원자재의 국제가격이 일제히 상승, 당국의 물가관리에 부담을 주고 있다.30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국내 원유수요의 대부분을 충당하는 중동 두바이산 원유가격은 지난 26일 현재 배럴당 13.93달러를 기록, 2월말의 10.33달러에 비해 34.8% 상승했다. 북해산 브렌트유 가격도 배럴당 10.61달러에서 14.25달러로 34.3% 치솟았고 미국 서부텍사스중질유 가격은 12.27달러에서 16.13달러로 31.5% 올랐다.
유가 급등은 지난 23일 석유수출국기구(OPEC) 정기총회에서 4월1일부터 하루 200만배럴이상 추가 감산하기로 합의한데 따른 영향으로 앞으로 원유 가격은 더 오를 것으로 예상된다.
소맥과 옥수수 가격도 남아프리카, 아르헨티나, 미국 남동부 등 주요 재배지역의 건조한 기후 지속으로 생산량 감소가 우려돼 상승세를 나타냈다.
소맥은 지난 2월말 부셸당 237.25센트에서 26일 현재 289센트로 21.8% 상승했고 옥수수는 부셸당 204.50센트에서 232.25센트로 13.6% 올랐다.
또 콩은 부셸당 449.75센트에서 496.75센트로 10.5% 상승했다.
이와 함께 공업용원자재 가운데 알루미늄은 톤당 1,174.5달러에서 1,236.5달러로 5.3%, 구리는 톤당 1,378.5달러에서 1,426.5달러로 3.5%가 각각 올랐다.
다만 원면은 파운드당 63.76센트에서 61.29센트로 3.9% 하락했다.
이처럼 수입의존도가 높은 원자재 가격이 3월들어 큰 폭의 상승세를 보임에 따라 물가상승 압력과 함께 올해 경상수지흑자 목표 200억달러 달성에 걸림돌이 될 것으로 우려된다. 【권홍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