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전문가들은 5대그룹의 빅딜 부진이 경제회복의 가장 큰 장애물이며 전정부의 경제실정이 현 경제위기 초래의 주범으로 판단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13일 국회 정무위 소속 鄭東泳의원(국민회의)이 금융감독위원회 및 산하기관의 실.국장급 이상 고위 간부와 금융협회 부장단, 한국노총.민주노총의 금융관련노조간부, 참여연대.경실련 등 시민단체의 금융전문가 156명을 상대로 한 경제구조조정 관련 설문조사에서 밝혀졌다.
이 조사에 따르면 "전체 경제부문 구조조정 가운데 가장 부진한 부문이 어디냐"는 질문에 전체 응답자의 40%가 `5대 재벌의 빅딜'이라고 답했으며 '6대그룹 이하의 기업 구조조정' 28.7%, '제1금융기관 구조조정' 22%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경제위기를 초래한 원인으로는 '전 정부의 경제실정'이라는 응답이 43.1%로 집계돼 '금융기관의 부실화'(20.6%), `기업의 과다한 생산설비 투자'(16.9%) 등에 비해 월등히 많았다.
또 경제 침체 극복시기와 관련해서는 전체 응답자의 33.3%가 3년이라고 응답했으며, 2년 26.9%, 5년이후 23.5%, 4년 10.9%, 1년 5.8% 등 평균 3.2년인 것으로 조사됐다.
鄭의원은 "이번 조사결과를 토대로 향후 금감위 공정위 등 재벌정책 관련 부처들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5대 그룹의 여신편중 현황 등을 집중적으로 다뤄 이들의 자발적이고 적극적인 구조조정 작업을 유도해 나갈 방침"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