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가 안중근 의사 유해의 행방을 찾을 단서로 활용될 수 있는 외교문건을 처음으로 한국에 전달한 것으로 확인됐다.
안중근 의사 순국 한 달 뒤인 지난 1910년 4월 당시 서울 주재 러시아총영사관이 작성해 자국 외무부에 보고한 이 문건에는 사형 직전의 안 의사를 마지막으로 만난 프랑스인 조제프 빌렘 신부가 안 의사의 '우국충절' 정신을 평가한 내용 등이 담겨 있다.
특히 안 의사가 1909년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를 처단한 곳이 러시아령인 하얼빈이었다는 점과 최근 안 의사의 유해 찾기가 남북한과 중국, 일본 등에서 본격적으로 진행되고 있어 이번 외교문서가 안 의사 유해의 행방을 찾는 단서를 제공해줄지 주목된다.
국가보훈처의 한 관계자는 30일 "10일 콘스탄틴 브누코프 주한 러시아대사가 보훈처를 방문해 김양 보훈처장과 만난 자리에서 A4 용지 6장의 안 의사와 관련한 외교문건을 전달했다"면서 "이 문건은 1910년 서울 주재 러시아총영사관에서 본국 외무부로 발송한 것"이라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번역한 결과 정부가 가장 관심을 두고 있는 안 의사 유해 행방을 파악할 수 있는 단서는 찾을 수 없었다"면서 "하지만 안 의사를 마지막으로 만난 빌렘 신부의 증언이 3장 있었다"고 설명했다.
한편 정부는 해외 문화재 환수를 위한 협의체를 구성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