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우리당 문희상(文喜相) 의장은 23일 "여권이 기본적인 신뢰의 위기를 겪고 있다"고 말했다.
중국 공산당 초청으로 베이징(北京)을 방문 중인 문 의장은 이날 기자들과 만나"우리당이 7~8월에 휴가를 반납하고 민생에 전념했는데도 지지율은 바닥"이라며 이같은 상황인식을 드러냈다.
문 의장은 "지금은 콩으로 메주를 쑨다고 해도 국민이 믿지 않는 상황이고, 무슨 이야기를 해도 먹히지 않는다"며 답답한 심경을 드러낸 뒤 "여당이나, 대통령이나, 정부나 왕도가 없고, 가만히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최근의 민심이반 현상을 `쓰나미'에 비교하면서 "태풍이 올때는 납짝엎드려 있는게 최선이고, 까불다가는 쓰나미에 다 휩쓸려간다"고 `자중자애'를 강조해 눈길을 끌었다.
그는 또 일반 국민 사이에 노무현(盧武鉉) 대통령에 대한 비판이 확산되는 데대해서도 답답하다는 반응을 보였다.
그는 "추석때 민심을 보면 대통령 비판이 일종의 유행병과 같고, 대통령에게 잘했다고 말하면 `왕따'가 되는 것 같더라"며 "아주 이상한 현상"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그는 최근 여권의 지지도 하락과 관련, 당내 일각에서 노 대통령의 책임론이 확산되는 상황에 대해서는 "쓰나미 때 거기서 살려고 대통령을 비판하는 것은비겁한 것이고 최악"이라고 선을 그었다.
이와 함께 그는 노 대통령이 정기국회가 끝나는 올 연말까지 정치적 사안을 제기하지 않겠다고 언급한 것과 관련, 연정론이 연말 이후 다시 제기될 것으로 전망했다.
문 의장은 또 "(정기국회 전념 발언은) 말 그대로 대통령이 연정을 입에 올리지않겠다는 것"이라며 "연정에 대한 대통령의 생각이 없어지는 것은 아니고, 대통령생각은 앞으로 변할 수 없다"고 말했다.
문 의장은 이어 "정치가 경제의 발목을 잡아서는 안된다는 차원에서 대통령이자신의 정치철학인 대화와 타협을 제시한 것"이라며 "대화와 타협은 바뀌지 않는 참여정부의 국정원리이기 때문에 대통령은 마지막 순간까지 그것(연정)을 이야기 할것"이라고 말했다.
(베이징=연합뉴스) 고일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