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위앤화 절상을 단행한다면 가급적 시점을 앞당기는 게 한국 경제에 유리하다는 견해가 제시됐다. 또 정부가 인위적인 외환시장 개입에 나서기 힘든 만큼 수출시장 및 통화 다변화 등 기업의 적극적인 환율대책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됐다.
진병화 국제금융센터 소장은 18일 롯데호텔에서 상공회의소 주최로 열린 오찬간담회에서 “위앤화 절상 여부라는 가변적인 요인으로 인해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우리 경제에 나쁜 영향을 미치고 있다”며 “위앤화가 절상될 것이라면 빨리 확정되는 게 우리 입장에서 바람직하다”고 밝혔다.
진 소장은 “위앤화의 환율제도 변경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면서 “이미 경제문제를 넘어 정치적인 문제로 넘어갔기 때문에 정치적 타협에 의해 이뤄질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 그는 또 위앤화가 절상되면 원화도 동반 절상하는 것 아니냐는 시장의 예상에 대해 “원ㆍ달러에 대한 원화와 위앤화 방향은 같은 추세를 보여왔다”며 “위앤화 절상이 또 한 차례 원화강세 모멘텀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