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들어 기업들이 벌어들인 돈을 쌓아두면서 유보율이 더욱 높아졌다.
21일 증권선물거래소에 따르면 올 6월 말 현재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523개 제조업체의 유보율은 평균 481.55%로 지난해 말의 467.37%에 비해 14.18%포인트 높아졌다.
유보율은 영업활동을 하거나 자본 거래를 통해 벌어들인 자금 가운데 얼마만큼을 사내에 두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로, 이 비율이 높으면 통상 재무구조가 탄탄한 것으로 평가된다.
이들 제조업체의 6월 말 현재 자본총계는 311조6,849억원으로 6개월 전보다 3.39% 늘어난 반면 자본금은 53조5,958억원으로 0.87% 증가하는 데 그쳐 유보율이 이같이 높아졌다.
10대 그룹의 경우 132조9,301억원의 자본총계와 19조6,629억원의 자본금을 기록, 유보율이 지난해 말 561.09%에서 올 6월 말 576.05%로 14.96%포인트 높아졌다.
그룹별로는 삼성이 6개월 전보다 24.77%포인트 늘어난 1,006.69%로 가장 높았고 SK가 830.74%로 뒤를 이었다.
LG에서 분가한 GS의 유보율은 404.87%로, 지난해 말보다 0.87%포인트 낮아진 LG(315.37%)보다 좋은 성적을 기록했다. LG를 포함해 현대중공업(714.47%), 한화(177.54%) 등 3개 그룹은 유보율이 낮아졌다.
주요 기업의 유보율을 보면 SK텔레콤이 1만6,139.64%로 가장 높았고 ▦삼성전자 3,948.85% ▦포스코 3,585.79% ▦신세계 2,201.91% ▦한국전력 1,183.95% ▦SK 1,008.13% ▦현대자동차 825.95% 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