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국민 3분의2 이상 "기회되면 땅 투자"

국토硏 분석, 부동산 투자선호도 30년전보다 2배이상 높아

국민의 3분의 2 이상은 기회가 되면 땅에 투자해 자산을 늘리기를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부동산에 대한 투자선호도는 30년 전에 비해 2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분석됐다. 17일 국토연구원이 내놓은 ‘토지에 관한 국민의식의 변화 분석’ 자료에 따르면 2006년 부동산 선호도는 57.4%로 1979년 28.6%보다 2배 이상(28.8%포인트) 높았다. 또 토지를 재산증식 수단으로 이용하겠다는 응답이 1979년에는 51.1%였으나 2006년에는 67.5%로 조사돼 토지 투기에 대한 부정적 인식도 약화됐음을 보여줬다. 그러나 여윳돈이 있으면 개인사업 등을 하겠다는 응답은 39.9%에서 7.6%로 크게 감소했다. 이에 따라 토지유형별 선호도도 1979년에는 농사지을 농지가 26.4%로 가장 높았으나 2006년에는 투자목적의 농지와 임야(34.2%)를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땅값이 오르는 원인에 대한 인식도 ‘일부 사람들의 투기’라는 응답 비율이 1979년 35.8%에서 26.2%로 낮아진 반면 ‘부동산업자들의 조작’이라고 응답은 7.6%에서 12.9%로 줄었다. 이밖에 지가 급등으로 인한 불로소득 환수에 대해 국민들의 81.4%가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부 환수 보다는 적정비율의 환수에 대한 지지도가 높았다. 국토연구원 채미옥 토지주택연구실장은 “과거에 비해 부동산투기 선호가 증가하고 사회적으로도 문제가 되지 않는다는 응답이 크게 늘었다”며 “자산 포트폴리오를 토지에서 금융 등으로 다양화하는 등 건전한 투자에 유도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국토연구원은 1979년, 1985년, 2000년에도 토지에 관한 국민의식을 조사했으며 지난해 조사의 표본수는 1,800개이며 95% 신뢰수준에 오차는 2.3%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