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교생이 100명이 안되는 농어촌지역 등의 소규모 학교 통폐합 작업이 가속화된다.교육부는 14일 그동안 추진해왔던 과소규모 초·중· 통폐합 실적이 지지부진하다고 판단, 올해 모두 1,00개 이상의 초중고를 없애거나 합치기로 하고 스스로 통폐합을 결정하는 학교에는 평균 5억원씩 지원키로 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지역주민 등의 반대로 올해안에 학교 통폐합 결정을 내리지 못하는 학교에 대해서는 앞으로도 지원하지 않을 방침이다.
교육부는 이런 내용의 「통폐합 추진시기 단축지침」을 전국 시·도교육청에 시달하고 이달말까지 교사와 학부모 등 학교구성원과 동창회 등 지역주민의 여론을 수렴해 학교별 통폐합 여부를 정하도록 요청했다.
대상 학교는 당초 올해 문을 닫거나 분교로 격하시키기로 했던 540개교(본교·분교 폐지 312개, 분교 개편 194개, 통합운영 34개)와 내년 통폐합 예정이었던 869개교(폐지 289개, 분교장 개편 539개, 통합운영 41개)로 모두 1,409개교다.
교육부는 학생수가 적은 본교 및 분교는 가급적 없애되 폐지가 어려우면 분교로 바꾸고 특정지역 학생이 일정 규모가 되지 않을 경우 초.중.고교가 한 학교 안에 있는 통합학교로 운영할 계획이다.【오현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