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교육청은 매년 3월 전국적으로 시행하는 '교과학습 진단평가' 대신 내년부터 자체 개발한 문항이나 한국교육개발원이 제공하는 문제 등을 활용해 일선 학교에서 스스로 부진한 학생을 걸러내도록 할 방침이라고 7일 밝혔다.
경기ㆍ강원ㆍ전남ㆍ전북ㆍ광주 등 5개 교육청이 진단평가 실시여부를 학교의 자율 판단에 맡기는 가운데 서울시교육청도 이날 사실상 '거부' 방침을 정함에 따라 진단평가의 전국 단위 일제고사로서의 성격이 사실상 상실될 것으로 보인다.
시교육청의 한 관계자는 "학습 진단을 위한 자체 문항을 제작하겠다는 것은 곧 전국 시도교육감 협의회에 전국 공통 문제지를 쓸 수 있는 사용료를 내지 않겠다는 의미"라며 "사실상 현행 진단평가를 보지 않거나 자율에 맡기겠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올해 진단평가는 치르도록 하되 초등 4∼5학년의 경우 국어ㆍ영어ㆍ수학ㆍ사회ㆍ과학 중 국어ㆍ수학만 의무화하고, 나머지 과목의 시험 여부는 학교 자율에 맡겼다. 중학교 1∼2학년의 경우 개별 학생의 학습부진 요인 등을 파악하기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한다.
8일 치러지는 올해 진단평가는 전국 16개 시·도 교육청 간 합의를 통해 초등학교 3~5학년, 중학교 1~2학년을 대상으로 국어·영어·수학·사회·과학 등 5개 과목을 평가하는 시험이다.
시교육청은 "과도한 경쟁을 막고 학습부진 학생을 선별해 구제한다는 진단평가의 본뜻을 살리기 위해 채점 및 성적은 학교별로 자체 처리하고 학생이나 학교 간 비교 자료로 활용하지 못하도록 했다"고 설명했다.
한편 진단평가에 대해 '줄 세우기식 일제고사'라고 지적해온 전국교직원노동조합은 "진단평가가 실시되는 8일 지부를 중심으로 학교 앞 1인 시위와 제한적인 체험학습을 진행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