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양현승교수팀모양과 기능이 인간과 유사하고 자유로운 의사소통은 물론 시각인식과 감정표현능력까지 갖춘 휴먼로봇이 개발됐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전자전산학과 양현승교수 연구팀은 현재까지 미국과 일본 등 일부 선진국에서만 개발됐던 휴먼로봇을 개발하는데 성공했다고 30일 밝혔다.
양교수팀이 개발한 휴먼로봇 '아미(AMIㆍ사진)'는 사람과 유사한 얼굴을 갖고 있을 뿐만 아니라 정밀작업이 가능한 두 팔과 손, 장애물탐지 및 회피가가능한 주행부, 환경인식을 위한 시각ㆍ청각ㆍ음성합성시스템 등 각종 센서를 부착하고 있다.
또 로봇제어 및 정보처리에 필요한 컴퓨터 및 파워(power)부문이 로봇안에 모두 내장된 소위 '셀프- 컨테인드 시스템(self-contained system)'을 갖추고 있어 외부와의 유선 연결이 필요없다.
이 로봇은 음성인식기술을 이용해 사람의 말을 알아듣고 사람과 대화도 가능하며 인공시각시스템을 이용해 물체의 인식 및 목표물추적 등도 가능하다.
또 가슴에 부착된 LCD 스크린을 통해 로봇 내부의 상태 및 기쁨, 슬픔 등 인간과 유사한 감정표현도 할 수 있다.
양현승 교수는 "지능과 인지능력, 감성인식 및 표현능력을 향상시키고 외관을 더욱 인간화시켜 세계 최고수준의 휴먼로봇을 만드는데 더욱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대전=박희윤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