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6년 소득 저축해야 내집마련 가능"

서울은 7.7년..미국 2.7년, 영국 4.1년보다 길어

우리나라 국민들이 연소득을 모두 저축해 주택을 구입하는데 6년이 걸리는 것으로 조사됐다. 미국 2.7년, 영국 4.1년, 캐나다 2.3년 비해 월등히 소요기간이 긴 것이다. 국토연구원은 9일 안양시 연구원 강당에서 `주거서비스와 주거지표에 관한 국제세미나'에서 발표된 우리나라의 주거서비스 지표와 미국, 영국, 일본, 캐나다의 사례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지표 가운데 주거비부담 지표를 살펴보면 올해 우리나라의 연소득대비 주택구입비율(PIR)은 서울의 경우 7.7배로 총 소득을 7.7년간 꼬박 저축해야 집을 살 수 있는 반면 지방 대도시는 3.8배, 중소도시 2.6배로 주택구입부담이 현저히 낮았다. 최저 소득층은 6.7배로 적정기준 4.0배에 비해 높았다. 월소득에서 임대료 부담을 나타내는 월소득대비 임대료 비율(RIR)은 24.2%로 캐나다(21%), 일본(10.6%)보다 많고 미국(33%), 영국(53%)보다는 낮았다. 자가점유율은 54.4%(2000년 기준)로 미국 68.3%, 65.8%, 일본 61.2%에 비해 떨어졌고 1인당 주거면적도 7.5평으로 미국(20.6평), 일본(20평)에 크게 못미쳤다. 주택보급률은 우리나라 102.2%(2004년), 미국 105.3%, 캐나다 103.9%, 일본 114.3%(2003년)였다. 우리나라의 평균 건축경과연수는 15.8년으로 미국(33년), 캐나다(31.3년), 일본(21년)보다 새 건물이 많았으며 3인이상 단칸방 거주가구비율은 1.1%(2000년)로 미국(0.4%), 일본(0.09%)과 차이가 많았다. 주거안정성 지표 가운데 평균 거주기간은 서울 5.4년, 지방 군 지역 15.7년으로격차가 컸는데 이는 도시지역에 임대 가구가 많고 소득변동에 따른 주거이동이 빈번하기 때문으로 해석됐다. 전.월세 임대료 상승으로 강제로 이사할 수 밖에 없는 강제이동비율은 10.4%로영국(5.5%), 미국(6.1%)의 배 가까이 됐다. 특히 저소득층은 13.9%,점유형태별로는월세가 23.6%, 노년층 가운데는 66-75세가 25.6%로 높았다. 국토연구원은 "국민들의 주거안정과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 국민임대주택 공급비중 확대, 저소득층 및 노령가구에 대한 임대주택 우선입주권 부여 및 주거지원,주택자산 불평등도 완화를 위한 보유세 및 양도소득세 강화 등 정책이 필요하다"고지적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