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無자녀 선호 기혼女 12년새 5배 넘어"

2003년 현재 44.9% 응답…무자녀 부부중심 핵가족 증가 전망

기혼여성의 경우에도 '무(無)자녀'를 선호하는 비율이 12년 새 5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5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김승권 박사가 내놓은 '다양한 가족의 출현과 사회적 지원체계 구축방안'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15~44세 기혼여성 중 "자녀를 반드시 가질 필요가 없다"고 답한 비율은 1991년 전체 7천448명중 8.5%였으나 1997년 5천409명중 26%, 2000년 6천363명중 41.5%, 2003년 6천593명중 44.9%로 나타나 12년만에 5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이를 반드시 가져야 한다"고 응답한 기혼여성은 1991년 90.3%에서 1997년 73.7%, 2000년 58.1%, 2003년 54.5%로 해마다 급격히 줄어든 것으로 드러났다. 2003년 현재 미혼여성의 경우 '자녀가 없어도 상관없다'고 답한 비율은 전체 1천759명중 21.7%로 나타나 기혼여성보다 절반 가량 낮았다. 김 박사는 "근대 산업화 사회 진입에 따라 부부가 결혼을 하면 반드시 아이를 가져야 한다는 태도가 1990년대 후반부터 변하기 시작했다"며 "배우자가 있는 기혼여성의 자녀 가치관이 사회의 출산율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만큼 향후 무자녀 부부중심으로 구성된 핵가족이 많아질 것이라는 점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신유리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