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력이 쌓일수록, 핸디캡이 줄어들수록, 역시 스코어는 퍼팅에 달렸다는 사실을 절감한다. 그러면서도 퍼팅 레슨을 받는다는 골퍼를 찾기 어려운 것이 사실. 전문가들의 도움을 받아 퍼팅에서 가장 흔한 실패 유형과 함께 스스로 교정할 수 있는 방법을 알아봤다.
◇잦은 쇼트 퍼트 실수= 1m 이내 퍼트 실패는 스트로크 도중 감속하는데 원인이 있을 가능성이 크다. 퍼터헤드를 ‘유도하려’ 하기 때문이다. 눈을 감고 쳤을 때 성공률이 비슷하거나 더 높다면 감속이 문제다. 눈을 감고 시각적 간섭이 없는 상태로 볼을 쳐 헤드가 자연스럽게 흐르면서 가속되는 감각을 익힌 뒤, 눈을 떴을 때도 똑같은 느낌으로 퍼팅을 한다.
◇홀에 못 미치는 경우= 너무 짧게 퍼팅하는 일이 많다면 후방 스트로크가 너무 길기 때문이다. 백스윙을 크게 하고 볼을 칠 때 속도를 늦추는 것이다. 볼 뒤 25㎝ 지점과 앞쪽 30㎝에 티를 하나씩 꽂은 다음 10m 가량의 퍼팅을 해본다. 헤드 뒷면은 티에 닿는데 페이스 쪽은 닿지 않는다면 백스윙이 너무 긴 것이다. 퍼터가 양쪽 티에 모두 닿도록 스트로크를 해준다. 그러면 전방 스트로크 구간에서 가속되면서 홀까지 부드럽게 굴러가도록 할 수 있다.
◇왼쪽으로 당기는 습관= 퍼팅의 방향성 문제는 밀어치는 것보다 잡아당기는 쪽으로 더 흔하게 나타난다. 좌우 어깨를 시소처럼 움직이지 않고 회전시키면서 왼쪽 어깨를 오픈시키는 것이 원인이다. 드라이버를 양쪽 겨드랑이에 끼운 채로 어드레스 자세를 취한 다음 드라이버 샤프트 끝의 방향을 체크한다. 스트로크를 할 때 왼쪽 어깨가 열리면 샤프트가 표적의 왼쪽을 가리킬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