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증권일반

[에셋플러스] 대기업 사업재편·구조조정 본격화… 올 M&A규모 사상최대 예상

기업 풍부한 유동성 바탕 M&A 통해 성장 모색

삼각분할합병 등 정책도 시장 활성화 촉매 기대

금융당국·채권단 주도로 한계기업 구조조정 땐

악성매물 쌓일 가능성도


올해 국내 기업인수합병(M&A) 시장은 대기업 간 사업 재편과 산업 구조조정에 따른 매물 출회로 높은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된다. KDB대우증권과 쌍용양회 등 지난해 말 잇따라 우선협상대상자가 선정된 기업들의 매각 작업도 마무리된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기업 구조조정 결과로 마지못해 나와 거래되는 네거티브(Negative) 딜이 크게 증가할 경우 모처럼 활기를 보였던 M&A 시장이 얼어붙을 수도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6일 금융투자(IB)업계에 따르면 2015년 큰 폭으로 증가했던 국내 M&A시장은 새해 들어 조선·철강·해운 등 한계 업종의 구조조정이 본격화하고 대기업 간 사업 재편이 활발하게 이뤄지면서 사상 최대 규모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KDB대우증권에 따르면 2015년 국내 M&A 시장은 거래대금 기준 약 77조원 규모로 전년의 69조원에 비해 11.6% 늘며 최대 규모를 기록했다. 특히 SK와 SK C&C의 합병을 비롯해 제일모직과 삼성물산의 합병, 삼성과 롯데의 화학사업 빅딜, SK텔레콤의 CJ헬로비전 인수 등 대기업들이 사업을 재편하는 과정에서 M&A 거래가 활성화됐다.

올해 들어서도 이 같은 흐름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피인수기업의 원하는 사업부만 인수하는 삼각분할합병 등 다양한 정부 정책들도 국내 M&A 시장 활성화의 촉매제로 작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유명간 KDB대우증권 연구원은 "대기업들은 경기회복이 불확실하고 재고부담이 높아진 상황에서 풍부한 유동성을 바탕으로 M&A를 통한 성장을 모색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KDB대우증권에 따르면 제조업 기준 시가총액 상위 300개 기업이 보유한 현금 및 현금성 자산은 지난해 3·4분기 기준 127조5,000억원으로 전년의 95조9,000억원에 비해 1년 만에 33% 증가했다.

국내 기업들의 매출액 대비 현금성 자산 비중도 같은 기간 8.1%로 최근 10년 내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하고 있다. IB 업계에서는 지난해 말 자동차 전장부품 시장 진출을 선언한 삼성전자가 빠른 시장 진입과 관련 기술 확보를 위해 해외 자동차 부품업체의 M&A에 공격적으로 나설 것으로 보고 있다. 지난해 10월 그룹 총수인 최태원 회장이 경영에 복귀한 후 두 달 만에 두 건(CJ헬로비전, OCI머티리얼즈)의 M&A를 성사시킨 SK그룹도 반도체 소재와 에너지 부문을 중심으로 추가적인 M&A에 나설 가능성이 높다. LG그룹 역시 올 초 동부팜한농 인수를 마무리 지을 예정이며 자동차 전장부품 회사인 독일 호른슈크 인수를 추진하고 있다.

금융당국의 방침에 따라 산업은행이 보유한 비금융 자회사들도 M&A 시장에 나온다. 산은·현대차·한화테크윈 등 대주주로 구성된 주주협회의 공동매각기한이 지난해 말로 종료된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이 매각 1순위로 꼽힌다. 주요 주주인 두산(디아이피홀딩스)이 재무구조 개선을 위해 보유지분(5%) 매각에 나설 예정인 가운데 최대주주인 산은이 전체 지분(26.75%) 중 일부를 먼저 팔 가능성이 높다. 금융투자업계는 산은이 실제 분할 매각에 나설 경우 헐값 매각에 따른 배임 논란을 피하고 방산업체의 특수성을 고려해 보유지분 26.75% 가운데, 15% 정도를 남기고 나머지를 먼저 팔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지난해 말 M&A 시장을 뜨겁게 달궜던 미래에셋증권의 KDB대우증권 인수 작업도 올 하반기에 마무리될 전망이다. 미래에셋컨소시엄(미래에셋증권·미래에셋자산운용)은 KDB대우증권 본입찰에서 2조4,000억원대를 써내 지난해 12월 24일 인수우선협상자로 선정됐다. 미래에셋증권은 이달 중 확인 실사를 거쳐 2월부터 산은과 최종 가격협상을 벌일 예정이다. 가격 협상 이후 금융위원회의 대주주변경 승인 절차까지 감안하면 늦어도 올 하반기 안에는 인수 작업이 끝날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해 말 한앤컴퍼니를 인수우선협상자로 선정한 쌍용양회 채권단은 1·4분기 안에 주식매매계약(SPA)을 체결할 방침이다. 지난해 CJ헬로비전을 인수한 SK텔레콤 역시 공정위원회의 기업결합 심사 결과가 나오는 대로 합병 작업을 본격화할 예정이다.

올해 M&A 시장이 풍년을 이룰 것이란 예상과 달리 일각에서는 질적인 측면에서 부작용이 만만치 않을 것이란 우려도 제기된다. 올해부터 금융당국과 채권단 주도로 조선·철강·해운 등 한계업종에 대한 구조조정이 본격화할 경우 M&A 시장에 악성매물이 쌓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산은의 비금융자회사 매각 물량까지 쏟아지면 병목 현상이 심화할 수 있다.

유동성 위기를 겪거나 워크아웃(기업개선작업)·법정관리에 들어간 기업들이 마지못해 매물로 나와 거래되는 네거티브(Negative) 딜이 많아질 경우 모처럼 활기를 띠던 M&A 시장이 위축될 가능성도 제기된다.

대형 회계법인의 한 관계자는 "올해 M&A시장은 사상 최대 규모를 기록했던 지난해보다 양적으로 확대될 가능성이 크지만 동시에 기업간 선제적 사업 재편에 따른 자율 빅딜보다 산업구조조정 과정에서 쏟아져 나오는 네거티브 딜이 양산될 가능성도 높아 주의가 요구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서민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