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대미 무역흑자, 부가가치 기준으로 환산하면 5분의 1로 줄어들어

대미 무역흑자, 부가가치 기준으로 환산하면 5분의 1로 줄어들어




한국의 대미 무역흑자를 실질교역액인 부가가치를 기준으로 측정할 경우 5분의 1 수준으로 줄어든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은 22일 내놓은 ‘미국의 무역구조를 통해 본 우리의 대미 무역전략과 시사점’ 보고서에서 “2014년 세계산업연관표를 활용해 미국에 대한 무역적자를 부가가치 기준으로 환산하면 345억달러에서 72억달러로 79.1% 감소한다”고 밝혔다.

부가가치 환산에 따른 감소 폭은 한국(79.1%)이 미국의 주요 교역국인 일본(69.3%), 독일(65.6%), 멕시코(55.9%), 중국(45.1%)보다도 훨씬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우리나라 수출의 부가가치율은 63.3%로 미국(87.2%), 일본(78.9%), 독일(71.2%) 등 선진국 뿐만 아니라 중국(82.6%)보다도 낮았다.

관련기사



이에 대해 보고서는 “미국의 대한 무역적자 감소폭이 크게 나타난 이유는 우리나라 수출상품의 부가가치가 높지 않기 때문”이라며 “한국은 원자재와 중간재의 해외조달 비중이 높고 전기전자, 기계 등 조립가공제품의 수출비중이 크다”고 분석했다.

특히 보고서는 “향후 미국과의 통상마찰을 최소화하기 위해 미국의 대한 무역수지 적자가 실질적인 무역규모를 의미하는 부가가치 기준으로는 과다하지 않다는 점을 강조해야 한다”며 “이와 함께 최근 우리나라의 대미 서비스수지 적자가 확대되고 있고 투자를 늘리고 있다는 점을 한미 FTA 재협상 방어논리로 부각시킬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사진=연합뉴스]

전종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