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금융가

"부산銀에 서울 사람 안데려가"...BNK회장, 낙하산 인사설 일축

■김지완 회장 내정자 본지 인터뷰

빈대인 부산은행장에 전권 주고

전산·IT분야 공채로 인력 보강

부산-경남銀 '투뱅크' 시너지 낼것

김지완 BNK금융지주 회장 내정자김지완 BNK금융지주 회장 내정자




김지완(사진) BNK금융지주 회장 내정자는 19일 “부산은행에 서울에서 사람을 데려가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지난 8일 열린 이사회에서 차기 회장으로 낙점된 후 주변 인사를 부산은행과 BNK금융 계열사로 대거 발탁하려 한다는 항간의 의혹에 대해 극구 부인한 것이다.


김 내정자는 이날 서울경제신문과의 전화통화에서 “은행업무를 모르는 사람을 은행에 데리고 올 수는 없다는 게 저의 확고한 원칙”이라며 “바뀐 회장이 새로운 사람을 데리고 오면 기존 조직원들의 사기만 저하된다”고 말했다. BNK금융 내부에서는 계열사 주요 자리에 김 내정자와 가까운 증권맨이 대거 내려온다는 소문 때문에 동요가 컸다. 이에 김 내정자는 인사문제로 다시 조직을 흔드느니 내부 결속과 조직 신뢰 회복에 더 주력하겠다는 뜻을 밝힌 것으로 해석된다.

관련기사



이에 따라 김 내정자는 빈대인 신임 부산은행장에게 부산은행 전권을 주고 임원 인사도 당분간 단행하지 않을 생각이다. 김 내정자는 “과거 현대증권 사장으로 갈 때도 외부인사를 전혀 데리고 가지 않았기 때문에 내부 직원들의 평가가 좋았다”면서 “(회장과 친한 인사를 마구잡이로 데려오지 않는 게) 조직을 살리는 길이고 자존심을 지켜주는 일”이라고 강조했다.

김 내정자는 부산은행과 경남은행의 완전 통합을 추진할 계획이 없다는 구상도 밝혔다. 인력 감축 같은 구조조정도 하지 않을 계획이다. 대신 원프로세스 투뱅크 체제로 두 은행이 시너지를 내는 데 집중하겠다는 생각이다. 김 내정자는 “비용 절감과 효율성을 위해 전산망을 통합하겠다는 것이지 부산·경남은행 두 은행을 통합한다는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당초 그가 회장 후보로 거론됐을 당시 전산통합과 인력교류 의사를 밝히면서 계열사인 두 은행을 통합하는 게 아니냐며 노조가 강하게 반발했다.

김 내정자는 조직 쇄신을 위해 유입된 외부 인사인 만큼 지배구조 선명화에 중점을 두기로 했다. 그래서 지주 내에 가칭 ‘투명위원회’를 설립하겠다는 구상을 밝혔다. 또 은행 쏠림 현상에 대해 비은행 계열사 수익구조를 개선하고 베트남·미얀마 같은 동남아시아 시장 집중을 통해 글로벌 진출을 확대할 계획이다. 한편 김 내정자는 이달 27일 주주총회와 이사회를 거쳐 공식 임기를 시작한다. 그는 BNK금융그룹 설립 이후 첫 외부 출신 최고경영자(CEO)다.

황정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