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국가안보를 위한 슈퍼컴퓨팅의 지평을 넓힌다

슈퍼컴퓨팅 활용 국가안보 및 지능화 정책 토론회 27일 개최

슈퍼컴퓨팅이 국가안보의 기반기술로 활용되는 동시에 첨단과학기술 연구개발 발전에도 기여할 수 있는 법적·제도적 장치를 마련하기 위한 토론회가 열린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은 슈퍼컴퓨팅의 국가안보 활용 및 제도적 발전방안 마련을 위해 ‘슈퍼컴퓨팅 활용 국가안보 및 지능화 정책 토론회’를 27일 국회의원회관에서 개최한다고 26일 밝혔다.


이번 정책토론회에서는 ‘슈퍼컴퓨팅의 국가안보 활용을 위한 제도적 발전방안’발표에 이어 ‘슈퍼컴퓨팅의 국내외 국가안보 활용사례’, ‘슈퍼컴퓨팅의 운용 및 기술개발 현황’에 대한 소주제의 발표가 진행되고 전문가 토론을 통해 슈퍼컴퓨팅이 첨단과학기술 연구개발 지원과 함께 국가안보의 기반기술로 활용될 수 있기 위한 제도적 발전 방안을 마련한다.

관련기사



KISTI는 국가안보 관련 분야의 슈퍼컴퓨팅 활용 확대를 위해 전투훈련 빅데이터 분석 기술, 지능정보 기술을 이용한 전투임무 달성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 기술, 전투상황 예측 모델링 등 슈퍼컴퓨팅을 이용해 전투지휘관의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는 전투상황 예측 기술 개발을 추진중에 있다.

이필우 KISTI 슈퍼컴퓨팅본부장은 “슈퍼컴퓨팅의 국가안보 분야 활용을 위한 법적, 제도적 장치를 마련할 수 있는 기회가 되기를 바란다”며 “앞으로 국가안보 및 국방 분야의 슈퍼컴퓨팅 활용을 활성화해 국가 안보 강화 및 민군 기술 협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여러 방안을 모색하겠다”고 밝혔다.

/대전=박희윤기자 hypark@sedaily.com

박희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