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김경수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중소벤처기업부로부터 제출받은 국감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 간 신규 발굴된 이노비즈 기업 7,657개 사 중 58%인 4,434개사가 수도권에 위치한 것으로 집계됐다. 연도별로는 2012년 57.6%에서 2013년 59.1%, 2014년 58%, 2015년 57.8%, 2016년 56.8% 등 해마다 수도권 편중 현상이 이어지고 있다. 국가 균형 발전 철학이 부재한 제도 운용의 결과란 게 김경수 의원실의 주장이다.
이노비즈기업 제도는 중소기업 기술력이 국가경쟁력의 핵심요소로 등장함에 따라 미래 성장 가능성을 갖춘 중소기업을 발굴·선정하여 핵심 성장 동력으로 육성하는 제도이다. 지원 대상은 중소기업기본법상 중소기업으로, 설립 후 3년 이상인 정상 가동 기업이며 기술·자금·판로 등이 연계되어 지원된다.
중소기업연구원이 지난해 12월 이노비즈기업 1만7,472개사를 대상으로 조사한 자료에 따르면 이노비즈기업으로 선정돼 지원 받은 중소기업은 최근 3년간 매년 4%가 넘는 매출액 증가세를 보였다. 영업이익도 매년 10%가 넘게 증가하고 있어 중소기업의 성장에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3년 간 고용 증가율도 연평균 5.5%에 달했고 고용형태도 정규직이 91.9%로 양질의 일자리를 제공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하지만 이노비즈기업의 신규 발굴이 수도권에 57% 이상 편중돼 있는 점은 국가 균형발전 차원에서 개선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김경수 의원은 “이노비즈기업은 일자리 창출과 같이 지역 경제에 긍정적인 파급효과를 보이고 있다”며 “다만 국가균형발전의 관점에서 기술혁신형 중소기업 지정에 지역편차를 줄여가는 제도 운용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