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오전 서울 잠실롯데호텔. 정장을 말끔하게 차려입은 젊은이들이 대거 몰려들었다. 이들의 목표는 단 하나, 일본 기업에 취업하는 것. 같은 시각 강남구에 있는 서울해외취업센터에도 비슷한 현상이 펼쳐졌다. 다만 차이점이 있다면 참석자들 사이에서 독일말이 오간다는 점이었다.
극심한 취업난 속에 해외 취업에 눈을 돌리는 젊은 구직자가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날 KOTRA·한국산업인력공단에 따르면 올 하반기 진행된 정부의 일본 특화 취업박람회에 일본 기업 112곳, 구직자 2,500명이 몰려들어 성황을 이뤘다. 주최 측은 전년 대비 두 배로 참가자 규모가 늘었다고 추산했다. ‘2018 일본 취업박람회’는 지난 5일 부산에 이어 이날 서울에서 열렸다. 산업인력공단과 KOTRA는 매년 상하반기 두 차례에 걸쳐 해외 취업박람회를 진행해왔고 올해 하반기에는 처음으로 일본 특화 취업박람회를 열었다. KOTRA 관계자는 “지난해 글로벌 취업박람회 참가자가 하루 1,100명이었고 그 중 600명이 일본 취업을 희망한 것으로 추산한다”며 “올해 참가 인원은 사실상 두 배로 늘어난 셈”이라고 전했다.
우리와 달리 일본 기업의 경우 현지 구인난을 반영한 듯 이번 박람회에는 소프트뱅크·닛산자동차·전일본공수(ANA)를 비롯한 유명 기업 112곳이 참가했다. 특히 컨설팅과 취업 노하우, 기업소개는 물론 실제 면접과 채용도 이뤄졌다. 일본 기업들이 이번 박람회에서 직접 채용을 희망한 일자리 수만 661개다. 실제로 6,200명이 행사 전 서류전형에 지원했고 합격자 1,000명이 박람회에서 면접 절차를 진행했다.
산업인력공단이 7일부터 이틀간 서울해외취업센터에서 독일 정부 해외전문인력중재센터(ZAV)와 함께 진행하는 독일 취업정보 설명회에도 수백 명이 몰렸다. 이 설명회에도 블루네트웍스·우가 등 독일 기업들이 참가해 서류전형 합격자를 대상으로 채용면접을 진행했다. 독일 역시 구직난에 몸살을 앓는 국내 청년 취업자들이 눈 돌리는 주요 국가 중 한 곳이다. 최근 3년간 산업인력공단의 해외취업 지원 사업을 통해 독일에 취업한 국내 인력은 215명이다. 영국을 포함한 유럽연합(EU) 회원국 취업 인력의 70%를 차지한다. 이날 설명회 강연자로 나선 이호경 주한독일고등교육진흥원 교수는 “독일이 구직자들에게 매력적인 나라이지만 언어 실력과 현지에서 선호하는 전공 등 필수 요건을 갖춘 뒤 지원해야 실패하지 않는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