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아시아나 매각 묻자 "대주주가 알아서 결정해야"

■이동걸 산은회장 본지 인터뷰

'박삼구 결단' 우회 압박 해석

이달 자구안에도 영향 미칠듯




이동걸(사진) KDB산업은행 회장이 아시아나항공 경영정상화와 관련해 연일 “대주주(박삼구 전 회장)와 금호아시아나그룹이 알아서 결정할 문제”라고 밝혔다. 아시아나항공의 최대주주는 금호산업(33.47%)으로, 박삼구 전 금호아시아나그룹 회장 등이 67.6%를 보유한 금호고속이 45.17%를 보유하고 있다. 시장에서는 채권단이 한 달간의 자구안 마련 시간을 준 만큼 이 기간에 박 전 회장이 아시아나항공 매각에 대한 결단을 내려줄 것을 우회적으로 압박한 것이라는 해석이다. 금융당국과 채권단 등은 금호아시아나그룹이 재기하려면 박 전 회장이 그룹 경영에서 영구히 손을 떼야 하고 이는 금호산업이 아시아나항공 지분을 매각해야 완결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최종구 금융위원장은 최근 “아시아나항공의 어려움의 근본적인 배경은 지배구조 문제라고 보는 시각이 있다”며 “과거에도 박 전 회장이 한번 퇴진했다 경영 일선에 복귀했는데 이번에도 그런 식이면 시장의 신뢰를 얻기 어렵다”고 말했다. 다만 이 회장은 채권단 압박에 의한 강제 매각 논란을 의식한 듯 “금호산업에 (채권단이 아시아나항공 지분매각 등) 책임 분담을 요구하는 것은 월권”이라고 부연했다.


이 회장은 지난 6일 오후 미국 출장을 마치고 인천국제공항을 통해 귀국하는 길에 서울경제와 만나 채권단이 주장하는 대주주의 책임 범위에 금호산업의 아시아나항공 매각도 포함되느냐는 질문에 “대주주와 금호아시아나그룹이 알아서 결정할 문제”라고 말했다. 산은 등 채권단은 당초 6일 만기였던 아시아나항공의 재무구조개선약정(MOU)을 한 달 연장하면서 박 회장 측에 강도 높은 자구안을 요구했다. 이 회장은 최근 “대주주가 책임을 지기 전에 채권단이 한 푼이라도 손실이 생기는 지원은 하지 않겠다”며 ‘선 대주주 책임, 후 채권단 지원’ 방침을 강조해왔다. 대주주인 박 전 회장이 아시아나항공 정상화를 위해 채권단의 지원을 얻어내려면 사재 출연이나 아시아나항공 매각 등을 포함한 모든 대안을 내라는 것이다.

관련기사



하지만 채권단이 금호산업 이사회에 영향력을 행사해 아시아나항공 지분 매각을 유도하는 것은 구조적으로 불가능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유동성 위기를 겪고 있지만 그룹 매출의 60% 이상을 차지하는 알짜 계열사를 섣불리 매각했다가는 이사회가 배임 이슈에 휘말릴 수도 있어서다. 박 전 회장은 지난달 28일 그룹 경영에서 완전히 손을 떼면서 금호산업 대표 이사직과 등기이사직에서도 물러난 상태다. 아시아나항공 매각 결정은 ‘박 회장이 없는’ 금호산업 이사회가 내려야 하는 상황이다. 이 회장도 이를 의식해 “(내가) 금호산업 이사도 아닌데 외부에서 이사회의 역할에 대해 언급하는 것은 월권이 될 수 있다”면서 “채권단이 고민할 문제가 아니고 대주주가 알아서 결정할 일이며 그룹이 고민할 문제”라고 선을 그었다. 강제매각 논란을 피하면서도 최종 결정은 박 전 회장이 내려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 것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아시아나항공 최대주주가 박 전 회장 개인이라면 채권단이 필요에 따라서 아시아나항공 매각을 압박할 수 있겠지만 현 상황은 상장사인 금호산업이 최대주주”라면서 “이사회가 주도해 의사 결정을 해야 하기 때문에 배임 이슈 등을 고려하면 매각이 쉽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인천=서민우기자 ingaghi@sedaily.com

서민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