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버스파업 우려에 국토부, 17개 지자체 소집…"버스 요금 인상 필요"

김정렬(오른쪽에서 일곱번째) 국토부 2차관이 9일 서울 국토부 회의실에서 17개 지자체 부단체장을 소집해 버스 파업 등 대책을 논의하고 있다./사진제공=국토부김정렬(오른쪽에서 일곱번째) 국토부 2차관이 9일 서울 국토부 회의실에서 17개 지자체 부단체장을 소집해 버스 파업 등 대책을 논의하고 있다./사진제공=국토부



버스 노조 파업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국토교통부가 전국 17개 광역자치단체 부단체장을 소집해 버스요금 인상 등 적극적인 대처를 당부했다.


국토부는 9일 서울 용산에 있는 국토부 회의실로 전국 17개 시·도 부단체장을 불러 버스 파업 및 주 52시간 근로시간 단축과 관련한 지자체 대응 계획을 점검했다. 김정렬 국토부 2차관은 “노선버스는 하루 1,700만명의 이동을 책임지고 있어 버스 파업 시 국민 생활에 큰 불편이 초래된다”며 “각 지자체가 노사 협상을 적극 중재·조정해 파업이 발생하지 않도록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여 달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버스요금 인상 등 적극적인 대응도 요구했다. 김 차관은 버스업계 주 52시간 근무제 시행 관련 “현실적으로 정부 및 지자체의 재원만으로는 모든 부담을 해소할 수 없는 상황이며 버스 기사의 근무여건 개선으로 교통안전이 높아지는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 이어 “파업 방지와 버스업계의 원활한 인력 충원을 위해 그동안 동결했던 버스요금을 현실화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국토부에 따르면 현재 전국자동차노동연맹 소속 노선버스 노조 479곳 중 245곳이 노동쟁의조정을 신청했고, 파업 찬반투표를 거쳐 오는 15일부터 버스 운행 중단을 예고하고 있다. 파업 예고 지역에는 수도권 지자체가 모두 포함돼 있어 교통대란 우려가 커지는 상황이다.
/세종=김우보기자 ubo@sedaily.com

김우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