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인터뷰] 이승민 블루레오 대표 “‘양칫물 흡입’전동칫솔, 장애인 구강관리 돕죠”

지체장애인 구강 관리에 효과적

복지관·요양원에 5,000개 공급

이승민 블루레오 대표가 양칫물 흡입 전동칫솔을 시연하고 있다. /사진제공=블루레오이승민 블루레오 대표가 양칫물 흡입 전동칫솔을 시연하고 있다. /사진제공=블루레오



“양칫물을 자동으로 빨아들이는 전동칫솔로 지체장애인의 구강 건강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지요. 장애인용 제품뿐 아니라 고령자나 유아의 양치질을 돕는 전동칫솔도 내놓을 계획입니다.”

구강 관리기기 스타트업 블루레오의 이승민(30·사진) 대표는 10일 서울경제와 만나 “소형 모터 제어 등 자체 기술력이 응집된 자동흡입칫솔로 새로운 장애인 보조기기 시장을 개척할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블루레오가 개발해 지난 2018년 출시한 ‘G100’은 흔히 볼 수 있는 전동칫솔에 튜브와 물 주머니가 달린 모양이다. 칫솔모가 있는 머리 부분 옆에 난 3개의 구멍으로 양칫물과 침을 흡입해 주머니로 모을 수 있다. 흡입 능력은 분당 500㎖로 1회 양칫물을 거뜬히 처리한다. 이 대표는 “칫솔 상단에 발광다이오드(LED) 라이트를 붙여 구강 내부를 볼 수 있도록 하는 등 장애인을 돌보는 사람을 위해 디자인됐다”고 설명했다.

이승민 블루레오 대표가 양칫물 흡입 전동칫솔을 시연하고 있다. /사진제공=블루레오이승민 블루레오 대표가 양칫물 흡입 전동칫솔을 시연하고 있다. /사진제공=블루레오


점성 액체를 흡입하는 데 많은 부하를 견뎌야 하는 소형 모터도 자체 개발했다. 이 대표는 “국내외 특허출원한 50건 가운데 현재 국내 및 미국·중국 등에서 21건을 특허등록했다”며 “보조기기 기술과 노하우가 집약됐다”고 말했다.


사회적 약자를 위한 전동칫솔 아이디어는 이 대표의 봉사활동에서 시작됐다. 그는 “대학생 때 서울의 한 복지관에서 봉사활동에 참여했는데 장애인들이 양칫물을 뱉지 못해 봉사자들이 손으로 일일이 빼내야 하는 것을 보고 영감을 얻었다”며 “물 주머니도 당시 한 사회복지사 의견의 결과물”이라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서울과학기술대 신소재공학을 전공한 이 대표는 학내 창업 프로그램에 참여하면서 아이디어를 구체화했고 재학 중인 2016년 3월 블루레오를 세웠다. 이 대표가 전동칫솔 설계에 참여해 시제품도 만들었지만 제품 출시가 녹록지 않았다. 그는 “시제품은 내구성 등이 부족하다고 자체 판단해 전량 폐기하기도 했다”며 “흡입 제어와 음파 진동, 진동 상쇄 등 관련 기술의 완성도를 높이면서 투자유치로 이어졌다”고 말했다. 블루레오는 IBK기업은행, 서울산업진흥원, 비에스케이인베스트먼트 등 벤처캐피털로부터 총 15억원 투자를 받았다.

블루레오는 기업간거래(B2B), 기업·정부간거래(B2G) 중심으로 그동안 복지관·요양원 등에 제품 5,000여대를 공급했다. 미국 전역의 군 재활병원 등에서 전동흡입칫솔을 쓸 수 있도록 미 연방조달청의 제품 등록도 추진하고 있다. 그는 “전 세계 일반 전동칫솔 시장 규모는 약 5조원에 달하는데 우리나라는 이제 막 성장기에 진입했다”며 “유아나 루게릭 환자 등을 위해 개발 중인 ‘G-150’과 일반인을 겨냥한 전동칫솔도 조만간 내놓을 것”이라고 말했다.

구강 건강 정보 애플리케이션의 연내 출시계획도 소개한 그는 “사후치료에 의존하는 것에서 벗어나 사용자의 예방관리를 돕는 구강 건강 플랫폼 기업으로 거듭날 것”이라고 덧붙였다.


박현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