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IB&Deal

[마켓브리핑] 예스코 '수요예측'에 3배...AA급 회사채, 볕드나

차환 어려운 아시아나항공 단기자금 60억원 상환

올해 2.5조 차입금 만기…기안펀드 지원서도 배제




8일에는 기업어음(CP) 금리가 2bp(1bp=0.01%포인트) 하락했습니다. 단기금융시장 단골손님인 증권사들의 조달 여건이 개선된 영향이 큰 듯 한데요. 지난달부터 증권사들의 단기자금 조달 규모는 3월 72조원에서 38조원으로 크게 감소하고 있습니다. 발행 총량이 줄어들면서 여건도 우호적으로 바뀌었습니다. 특히 프로젝트파이낸싱 유동화증권(PF ABCP)이 순발행을 이어가는 등 일각에서 우려하던 유동성 불안은 다소 잠잠해진 분위기입니다.

LG유플러스와 신세계인터내셔널은 차환 발행하면서 직전 발행이었던 3월보다 금리가 16~18bp씩 낮아졌네요.(LG유플러스 1.35%→1.19% 신세계인터내셔널 1.68%→1.5%) 기준금리 인하 효과와 시장 변동성이 개선된 영향으로 풀이됩니다.

단기금융시장의 경색이 다소 풀리자 신용도가 낮은 기업들도 잇따라 순발행을 늘리고 있습니다. 업황이 나빠지면서 공모 회사채 시장을 떠난 삼성중공업(A3+)은 올해 벌써 세 차례 단기시장을 찾고 있네요. 전날 300억원어치 CP를 발행해 운영자금을 조달했습니다.



HDC현대산업개발(294870)이 인수를 앞두고 있는 아시아나항공(020560)은 전날 만기가 돌아온 60억원어치 단기자금을 현금 상환했습니다. 최근 정부가 기간산업안정자금 지원책을 발표했지만 아시아나항공의 경우 M&A 이슈가 있어 일단 지원 논의에서는 배제된 분위기지요. 이 회사는 올해 2조5,000억원어치의 차입금을 갚아야 합니다. 매달 2,000억~3,000억원에 달하는 고정비용도 발생하고요. 재무부담이 큰 만큼 HDC현산과 채권단의 줄다리기도 길어지고 있죠.


회사채 시장에서는 전날 AA급인 예스코가 1,000억원 규모 발행을 앞두고 진행한 수요예측에서 3,400억원의 매수 주문을 받아 흥행했습니다. 특히 희망금리밴드 상단을 +30bp까지만 연 것이 인상적이었는데요. 지난 3월 자금시장 경색 이후 대부분 발행사들이 70~80bp까지 확대한 것과 대비됩니다.

관련기사



9일은 올해들어 일곱 번째 ‘AAA’ 발행물인 KT 회사채 수요예측이 예정돼 있네요. 직전 발행인 지난해 10월 1조4,000억원이 넘는 뭉칫돈을 끌어모은 만큼 얼마만큼의 러브콜을 받을지 기대됩니다.

김민경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