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정책

금융위, ‘포스트 코로나’ 200개 혁신기업 연내 선정

[손병두 부위원장, 금융리스크 대응반 회의]

바이오, 비대면 산업 등 선정해 지원

증권사 콜차입 한도 8월부터 정상화

손병두(오른쪽 두번째)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이 28일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열린 금융리스크 대응반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금융위손병두(오른쪽 두번째)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이 28일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열린 금융리스크 대응반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금융위



손병두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이 “올해 안에 바이오, 비대면 산업 등 포스트 코로나로 주목받는 200개의 혁신기업을 선정해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손 부위원장은 이날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열린 금융리스크 대응반 회의에서 “확대된 시중 유동성이 ‘한국판 뉴딜’ 사업의 성장동력으로 활용되고 생산적 부문으로 흘러가도록 해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손 부위원장은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로 큰 변동성을 보였던 금융시장은 빠르게 회복해 안정세를 보이고 있다”며 “지난 3월 증권사의 유동성 부족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한시적으로 완화한 증권사 콜차입과 자산운용사 콜론 운영한도를 8월부터는 이전 수준으로 복원할 것”이라고 예고했다. 금융위는 지난 4월 증권사의 콜 차입 월평균 한도를 자기자본의 15%에서 30%로 한시적으로 확대했다. 이후 시장 상황이 안정화되자 5월(25%)과 6월(20%)에 콜 차입 한도를 일부 하향 조정했는데 8월부터 다시 15%가 적용되는 것이다. 한시적으로 완화한 자산운용사 콜론 한도도 8월부터는 자산총액의 2%로 복원된다. 7월 한 달 일시적으로 완화한 환매조건부채권(RP) 매도자의 현금성 자산 보유규제도 8월부터는 정상화된다.

/이태규·서지혜기자 classic@sedaily.com

이태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