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3∼4월 대형산불 총력 대응 나선다

3월 5일부터 4월 17일까지 ‘대형산불 특별대책 기간’ 운영

산림청, 대형산불 대비·대응 태세 구축 위한 산불안전관계관 회의 개최

최병암(오른쪽 첫번째) 산림청장이 대형산불 대비·대응 태세 구축 위한 산불안전관계관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제공=산림청최병암(오른쪽 첫번째) 산림청장이 대형산불 대비·대응 태세 구축 위한 산불안전관계관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제공=산림청




산림청은 건조한 기상과 국지적 강풍으로 인해 대형산불 발생 위험이 높아짐에 따라 3월 5일부터 4월 17일까지를 ‘대형산불 특별대책 기간’으로 정하고 전 행정력을 동원해 산불방지에 총력 대응한다고 4일 밝혔다.

우선 중앙·지역 산불방지대책본부를 24시간 비상 근무체계로 전환하고 현장 중심의 산불 예방 활동을 강화한다.



산불감시원 및 드론감시단을 활용해 산불취약지역의 불법 소각 및 무단입산자에 대해 집중 감시하는 한편 주말 기동 단속을 실시하고 일몰 후 소각행위 방지를 위해 야간단속을 강화하는 등 사각지대 없는 그물망 단속에 나선다.

관련기사



산불 발생 시 산불 현장에 대한 신속하고 정확한 상황 판단 및 진화 헬기·인력 등 진화자원을 전략적으로 운영하해 초기 대응을 강화한다. 산불 발생 시 풍속, 피해 예상 면적 등 산불확산 위험성을 분석한 후 산불단계를 적기에 발령하는 등 현장의 진화전략을 지원하고 주·야간 산불 진화 시 전국 110개소의 산불대응센터를 중심으로 산불 진화에 특화된 산불 특수진화대 등 진화인력 2만1000명을 투입해 대응하게 된다.

또한 드론 산불진화대를 산불 현장에 신속하게 투입해 주·야간 산불 대응 및 산불의 재발화 방지에 총력전을 펼친다. 산림청·지자체·유관기관 산불 진화 헬기의 공조 및 지휘체계를 일원화하고 강원 동해안·경기 북부 취약지역에 헬기를 전진 배치해 운영한다.

산림청은 이날 ‘대형산불 특별대책’의 하나로 행정안전부·소방청 등 관계부처, 17개 시·도 산림부서, 국립공원공단 등 유관기관의 산불안전관계관 회의를 갖고 ‘봄철 대형산불 대비·대응 중점 추진대책 및 협력방안’을 논의했다.

최병암 산림청장은 “올해 들어 산불 발생이 예년보다 2.5배가량 늘고 대형산불 위험이 높은 상황”이라며 “작은 불씨라도 산불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산림과 가까운 곳에서 논·밭두렁이나 쓰레기를 태우지 말고 산에 갈 때 인화 물질을 소지하지 말아달라”고 당부했다.


대전=박희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