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냉면은 이제 서민 음식 아니죠…평균 가격 어떻길래

국산 메밀 가격 53% 상승하면서 냉면값도 껑충

냉면. 사진=이미지투데이냉면. 사진=이미지투데이




여름철 대표 메뉴인 냉면 가격이 성수기를 앞두고 큰폭으로 올랐다.

19일 전문가격조사기관인 한국물가정보가 서울 10개 지역의 음식점 10곳의 대표적인 냉면 가격을 조사한 결과 냉면값은 지난해보다는 7%, 2018년보다는 29.5%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2018년 이들 식당의 냉면 평균 가격은 8300원 수준이었지만, 2021년 9150원, 2022년 1만50원으로 가파르게 올랐고 올해는 1만750원을 기록했다. 냉면이 더 이상 서민 음식이 아닌 셈이다.

관련기사



한국물가정보는 냉면 가격이 상승한 원인으로 주재료인 메밀 가격 상승을 꼽았다. 올해 국산 메밀 1㎏ 가격은 1만원 선으로 지난해보다 53.8%나 상승했다.

국산 메밀 가격은 2018년 이후 줄곧 6500원대를 유지했는데 지난해 말 급격히 올랐고, 대체제인 수입 메밀 가격도 평년보다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에 따르면 최근 수입 메밀 가격은 1㎏당 4300원 선으로 평년보다 40%가량 높았다.

냉면에 사용되는 설탕과 소금, 계란, 식초 등 다양한 식재료의 가격도 일제히 올랐다. 코로나 팬데믹 장기화와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이 겹치면서 메밀 생산량이 줄어든 데다 인건비와 물류비 등이 모두 오른 탓이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상대적으로 저렴한 간편식 냉면을 찾는 소비자들이 늘면서 대형마트에서 1∼15일 간편식 냉면 매출은 지난해보다 30% 증가했다.

원자재가 상승 여파는 여름 간식 아이스크림 가격에도 영향을 줬다. 한국물가정보에 따르면 롯데웰푸드와 빙그레, 해태아이스크림 등 주요 3사에서 생산하는 아이스크림의 소매점 가격은 지난해보다 100∼200원씩 인상됐다.


김정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