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정부, 고난도 기술 창업 2배로 늘린다…7000억 투입

과기정통부, 딥사이언스 창업 활성화 방안 발표

양자기술·핵융합·합성생물학 등 고난도 R&D

펀드 조성 등으로 2027년까지 창업 5500곳


정부가 양자기술, 핵융합, 합성생물학 등 고난도 과학기술, 이른바 ‘딥사이언스’ 분야의 창업을 지원하기 위해 7000억 원의 예산을 투입한다. 2027년까지 창업기업 수를 2배로 늘리겠다는 계획을 세웠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1일 비상경제장관회의 겸 수출투자대책회의에서 이런 내용을 담은 ‘딥사이언스 창업 활성화 방안’을 발표했다. 미국 모더나가 코로나19 메신저리보핵산(mRNA) 백신을 개발한 사례처럼 과학기술 혁신을 통해 신성장동력을 확보하고 미래 신기술 분야를 선점하기 위한 전략이다.

관련기사



한국은 국내총생산(GDP) 대비연구개발(R&D) 투자 비중이 4.96%로 세계 2위지만 딥사이언스 창업에 대한 투자는 저조한 실정이다. 이에 과기정통부는 딥사이언스 창업 R&D에 2027년까지 7000억 원을 투자해 창업 기업 수를 지난해 2879곳에서 2027년 5500곳으로 2배 수준으로 늘릴 계획이다. 창업 기업의 5년 생존율도 2020년 75%에서 85%로 높인다.

과기정통부는 구체적으로 2027년까지 최대 4500억 원 규모의 딥사이언스 마중물 펀드를 조성해 기업에 대한 자금 공급을 추진한다. 연구시설, 장비 등 인프라는 물론 병무청과 협력해 딥사이언스 창업 기업은 병역지정업체 추천 시 가점을 주는 제도적 지원도 이뤄진다. 혁신제품 지정 시에도 이 분야 기업을 우선 고려하고 정부의 시범구매도 확대한다.

오태석 과기정통부 1차관은 “과학기술에 대한 투자로 축적해온 과학기술 연구성과를 경제적 가치로 전환할 때다”며 “관계부처 기술사업화?창업정책과 연계하여 딥사이언스 창업 활성화에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김윤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