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풍선 드론'으로 산불 감시…반경 10㎞ 관찰

울산시, 11월부터 본격 운영

전력 공급으로 24시간 비행촬영

울산시가 산불 감시를 위해 도입한 풍선 드론. 사진제공=울산시울산시가 산불 감시를 위해 도입한 풍선 드론. 사진제공=울산시




울산시가 산불 감시에 풍선 드론을 도입한다.

울산시는 올해 새로운 기술인 광고풍선 드론을 활용한 산불감시체계를 산불감시 취약 장소인 중구 입화산과 국가공단주변에 도입한다고 31일 밝혔다.



헬륨가스 풍선에 드론을 매달아 100∼300m 상공에서 반경 10㎞를 관찰한다. 풍선 드론은 지름 3.45m 크기의 실리콘 재질 풍선에 헬륨가스를 채우고, 삼각형 연 모양의 비행체 아래 36배 줌이 가능한 높은 해상도(FHD)의 카메라를 매단 형태다.

관련기사



별도로 제작된 전선을 연결해 전력을 계속해서 공급할 수 있어 주 1회 헬륨가스를 보충하기 위해 하강하는 것을 제외하면 24시간 내내 비행촬영이 가능하다. 풍속 22m/s 이하의 바람에서 운영할 수 있어 특별한 강풍 상황이 아니면 언제든 활용할 수 있다.

산불 예방 홍보 효과도 있어 산불감시원의 퇴근 이후 산연접지 농작물 소각에 따른 산불 발생을 현저하게 낮출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울산시는 올해 산불방지를 위해 11월 1일부터 내년 5월 15일까지 산불방지대책본부를 운영한다. 또 11월부터 총 45명으로 구성된 인화물질 제거 전담반을 편성, 산과 연접한 도심 주택가나 국가산업단지 주변에 배치한다. 도심과 국가산업단지 산불 감시체계 강화를 위해 국가산단 주변에 산불감시 카메라 6대를 추가 설치, 총 26곳에서 28대의 카메라를 운영한다.

울산에서는 올해 사람의 부주의로 발생한 산불이 7건 발생해 1억4000여만 원의 산림 피해가 발생했다.

울산시 관계자는 “산불예방을 위한 실천사항으로 산에서 담배 피우지 않기, 지정된 장소 외 취사나 불 피우지 않기, 논·밭두렁 소각 안 하기, 산연접 지역에서 생활 쓰레기 소각하지 않기, 영농페기물 소각하지 않기 등 시민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실천을 당부드린다”라고 말했다.


울산=장지승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