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경기도, '봄철 멧돼지 번식기' ASF 차단 방역 총력

봄철 농가 내 바이러스 유입 차단…농장관계자 입산 금지 등

연중 위험 시기와 취약 요인에 따라 집중 점검 추진

방역수칙 준수 및 멧돼지 접근 경로 소독과 기피제 설치 등 조치 당부

경기도 청사 전경. 사진 제공 = 경기도경기도 청사 전경. 사진 제공 = 경기도




경기도가 야생멧돼지 활동이 활발해지는 봄철을 맞아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방역 관리에 총력 대응한다. 봄철은 야생멧돼지 출산기로 개체수가 급증하고 등산객 등 야외활동과 영농활동이 증가하여 아프리카돼지열병 발생 위험도가 높은 시기다.



13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는 행정명령 등을 통해 양돈농가의 ASF 발생 지역 입산 금지, 방목 사육금지, 축산농가 방문 전 거점 소독시설에서 소독, 농장 출입 차량 2단계 소독 등 강도 높은 방역 조치를 유지하고 있다.

관련기사



또 매주 수요일을 ASF 바이러스 퇴치 날로 지정해 양돈농가 및 축산시설, 주변 도로 등에 소독 장비 171대를 총동원해 일제 소독을 하고 있다.

최경묵 경기도 동물방역위생과장은 “지난 1월 파주 발생 사례에서도 볼 수 있듯이 경기도 전역에서 언제든지 ASF가 발생할 수 있다”면서 “축산종사자는 방역 수칙을 철저히 준수하고 멧돼지 접근 경로에 대한 소독과 기피제 설치 등 적극적인 조치를 해주시고, 도민들께서는 야외 활동 시 남은 음식물을 버리지 말고 ASF 의심 개체 및 폐사체 발견 시 접촉하지 말고 즉시 신고를 해달라”고 당부했다.

한편 ASF는 지난 2019년부터 사육 돼지에서 발생한 이후 경기, 인천, 강원, 경북지역 15개 시군 40건이 발생했다. 올 3월 기준 야생 멧돼지에게서는 전국 42개 시군 3759건이 발생했다. 경기도에서는 지난해 1~4월 사육 돼지에서 ASF이 포천 5건, 김포 1건 발병했으며, 올해 1월 파주 사육 돼지에서 발병한 바 있다.


의정부=이경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