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생활

"과일 값은 내렸는데"…올해 4인가족 차례상 비용 '30만2000원'

전년 설보다 3.4% 상승

전통시장이 가장 저렴


올해 설 차례상을 차리는 비용이 작년보다 3.4% 늘어날 것이란 조사 결과가 나왔다. 물가 상승과 기후 변화 등의 영향을 받아 4인 가족 기준으론 평균 30만 2000원이 들 전망이다. 다만 9일 정부가 발표한 민생대책에 담긴 성수품 대량 공급과 할인 지원이 추가로 반영될 경우 실제 설을 앞두고 장을 볼 때는 비용이 줄어들 가능성도 있다.

한파가 찾아온 10일 오후 서울 동대문구 청량리시장의 점포들이 비닐커튼을 치고 영업하고 있다. 연합뉴스한파가 찾아온 10일 오후 서울 동대문구 청량리시장의 점포들이 비닐커튼을 치고 영업하고 있다. 연합뉴스





11일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에 따르면 설을 3주 앞둔 지난 7∼8일 서울 25개구 90개 시장과 유통업체들의 제수용 23개 품목 평균 구입 비용(4인 기준)은 30만2418원으로 집계됐다.

유통 채널별로 보면 전통시장(24만1450원)이 가장 저렴했다. 이어서 △일반 슈퍼마켓(25만6223원) △기업형 슈퍼마켓(30만6445원) △대형마트(31만5499원) △백화점(45만4356원) 등 순이었다. 전통시장은 대형마트보다 축산물(-36.3%) 수산물(-31.7%) 기타식품(-31.3%) 채소·임산물(-28.5%) 가격이 모두 저렴했다.

10일 서울 동대문구 청량리시장에서 시민들이 장을 보고 있다. 연합뉴10일 서울 동대문구 청량리시장에서 시민들이 장을 보고 있다. 연합뉴



제수 23개 품목의 가격을 작년 설 물가 1차 조사 때와 비교해보면 12개가 오르고 나머지 11개는 하락했다.

관련기사



인상률은 시금치 값이 24.3%로 가장 높았다. △배(18.1%) △쇠고기(산적용·일반육)(16.4%) △대추(14.8%) △돼지고기(수육용·목삼겹)(14.0%) 순으로 뒤를 이었다. 시금치와 배는 모두 생산량 감소가 가격 상승으로 이어졌다. 계란값은 한 판에 평균 7637원으로 작년보다 8.6% 올랐다.

작년 대비 가격이 하락한 제품은 단감(-28.4%)·곶감(-16.2%)·숙주(-13.1%)·삶은고사리(-10.8%)·사과(-7.2%) 등으로 나타났다. 단감과 사과 값은 작년보다 수급이 안정되면서 내렸다.

품목별로 보면 축산물류가 12.3%로 가장 많이 상승했다. 채소·임산물은 2.1% 올랐다. 반면 과일(-6.4%)과 가공식품(-1.8%), 수산물(-0.6%)는 작년보다 가격이 하락했다. 작년 설에 많이 오른 과일류는 전반적으로 약세를 보인 가운데 배 가격은 18.1% 올랐다.

소비자단체협의회는 “농식품부가 설 대책 기간인 3주간 10개 성수품 공급량을 평소 대비 1.6배 늘려 16만8000t(톤)을 시장에 공급하기로 한 만큼 소비자들은 부담을 덜 수 있도록 정부 할인 등을 꼼꼼히 확인해 합리적인 소비를 하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이 협의회는 녹색소비자연대를 포함한 10여 개 단체로 구성돼있다. 올해 2차 가격 조사는 설 명절을 1주 앞두고 이뤄질 예정이다.


황동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