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김문수 “정년연장, 청년 문제인데…목소리 반영 안되고 있다”

23일 계속고용토론회 참석

“고용부가 입장 대변해야”

여론조사 결과엔 말 아껴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이 22일 서울 중구 로얄호텔에서 열린 '2025년 제1차 청년고용촉진특별위원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이 22일 서울 중구 로얄호텔에서 열린 '2025년 제1차 청년고용촉진특별위원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이 정년 연장 등 고령자 계속고용 문제와 관련해 “청년이 과소 대표됐다”고 답답해했다. 계속고용은 청년 일자리 문제와 직결되는 데 ‘대안 마련논의틀’ 안에 청년 목소리가 없다는 것이다.

관련기사



김 장관은 23일 사회적대화 기구인 경제사회노동위원회가 서울 정동1928 아트센터에서 연 고령자 계속고용 방안 마련을 위한 토론회 축사 후 기자들을 만나 계속고용과 관련해 “청년 일자리를 줄이는 정년 연장은 안 된다”며 “정년을 늘리는만큼 청년이 (정년이 늘어난) 일자리에 들어가지 못한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청년 문제를 어떻게 할 것인가를 생각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일 김 장관은 한 행사장에서 “청년 고용을 막는 정년 연장을 반대한다”고 밝혔다. 정년 연장 반대가 아니라 청년 고용에 방점에 찍혔다는 게 김 장관의 설명이다.

단적인 예로 계속고용 방안은 경사노위 내 노동계와 경영계, 고용부, 전문가가 회의체를 꾸려 논의 중이다. 하지만 이 회의체에는 청년이 없다. 이날 토론회도 7명이 토론을 하는데 청년 대표는 김설 청년유니온 위원장 1명이다. 김 장관은 이 상황을 지적한 듯 “계속 고용 문제는 청년 문제인데, 청년이 과소 대표돼서 목소리가 잘 반영되지 않고 있다”며 “고용부가 청년 입장을 대변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 장관은 최근 여러 대선 여론조사에서 여권 주자 중 높은 지지율을 얻은 상황에 대해서는 “오늘은 아무런 할 말이 없다”며 “오늘은 계속고용 토론회를 잘 봐달라”고 말을 아꼈다.


양종곤 고용노동전문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